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사람의 하찮은 말이나 행동도 자기의 수양에 도움이 된다.


他山之石.

타산지석.

다른 산의 돌.

(다른 산에 있는 쓸모 없어 보이는 거친 돌을 숫돌로 삼아 옥을 갈다.)

1) 다른 사람의 하찮은 말이나 행동(行動)도 자기(自己)의 수양(修養)에 도움이 된다.

 


 

鶴鳴(학명) - 학이 울다.

 

학이 남쪽의 언덕에서 우니 들판까지 소리가 들리네.

 

물고기는 연못에 숨어 있고 어떤 것은 물가에 있구나.

 

즐거운 저 동산 어느 곳에는 심어놓은 박달나무가 있지만 그 아래는 오직 낙엽뿐.

 

다른 산의 돌이 숫돌이 될 수 있다네.

 

 

 

학이 남쪽의 언덕에서 우니 소리가 하늘까지 들리네.

 

물고기는 물가에 있고 어떤 것은 연못에 숨어 있구나.

 

즐거운 저 동산 어느 곳에는 심어놓은 박달나무가 있지만 그 아래는 오직 닥나무뿐.

 

다른 산의 돌이 옥을 갈 수 있다네.

 


 

 

 

시경(詩經)의 소아편(小雅篇)에는 학명(鶴鳴)이라는 시()가 실려 있습니다. 타산지석(他山之石)은 이 시의 1() 2장의 마지막 부분(部分)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 입니다.

 

1)

他山之石 可以爲錯.

타산지석 가이위착.

다른 산의 돌이 숫돌이 될 수 있다.

 

2)

他山之石 可以攻玉.

타산지석 가이공옥.

다른 산의 돌이 옥()을 갈 수 있다.

 

1, 2장의 마지막 구절(句節)의 내용(內容)을 정리(整理)하면, ‘다른 산()에 있는 쓸모 없어 보이는 거친 돌을 숫돌로 삼아 옥()을 갈 수 있다라고 해석(解釋)할 수 있습니다. 이 말에서 소인(小人)을 돌(), 군자(君子)를 옥()에 비유(比喩)해 보면 뜻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君子(군자): ❶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 小人(소인): ❶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소인의 하찮은 말과 행동(行動)도 군자는 자기(自己)를 수양(修養)하는데 도움이 되게 할 수 있다.’

 

참고(參考):

- 반면교사(反面敎師)

 

반면교사(反面敎師)도 타산지석과 비슷한 뜻으로 사용(使用)됩니다. 그러나 두 단어(單語)에는 약간(若干)의 차이(差異)가 있습니다. 사용되는 예()를 살펴보면 쉽게 구분(區分)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

1) ‘A사의 성장과 발전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서 우리 회사도 신제품 개발에 더욱 투자를 해야 한다.’

2) ‘얼마 전 일본에서 일어난 원전사고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서 우리는 더욱 안전에 힘써야 한다.’

 

타산지석은 반면교사보다 조금 더 큰 의미(意味), ‘여러 가지의 것에서 가르침을 얻다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이에 비()해 반면교사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事物)의 부정적(否定的)인 측면(側面)에서 가르침을 얻다라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출전(出典):

-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 학명(鶴鳴)

 

※원문(原文):

鶴鳴于九聲聞于野

魚潛在淵或在于渚

樂彼之園爰有樹檀其下維

山之石可以

 

鶴鳴于九聲聞于天

魚在于渚或潛在淵

樂彼之園爰有樹檀其下維穀

山之石可以攻玉

 

※원문(原文) / 해석(解釋):

 

鶴鳴(학명) - 학이 울다.

 

鶴鳴于九 聲聞于野.

학명우구고 성문우야.

()이 남()쪽의 언덕에서 우니, 들판까지 소리가 들리네.

 

魚潛在淵 或在于渚.

어잠재연 혹재우저.

물고기는 연못에 숨어 있고, 어떤 것은 물가에 있구나.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

낙피지원 원유수단 기하유탁.

즐거운 저 동산, 어느 곳에는 심어놓은 박달나무가 있지만, 그 아래는 오직 낙엽(落葉).

 

他山之石 可以爲錯.

타산지석 가이위착.

다른 산의 돌이, 숫돌이 될 수 있다네.

 

 

 

鶴鳴于九 聲聞于天.

학명우구고 성문우천.

학이 남쪽의 언덕에서 우니, 소리가 하늘까지 들리네.

 

魚在于渚 或潛在淵.

어재우저 혹잠재연.

물고기는 물가에 있고, 어떤 것은 연못에 숨어 있구나.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穀.

낙피지원 원유수단 기하유곡.

즐거운 저 동산, 어느 곳에는 심어놓은 박달나무가 있지만, 그 아래는 오직 닥나무뿐.

 

他山之石 可以攻玉.

타산지석 가이공옥.

다른 산의 돌이, ()을 갈 수 있다네.

 

※유의어(類義語):

- 반면교사(反面敎師)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