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四分五裂(사분오열) – 질서 없이 어지럽게 흩어진 모습을 비유하는 말.


四分五裂.

사분오열.

넷으로 나뉘고 다섯으로 찢기다.

이리저리 나뉘고 찢어지다.

1) 질서(秩序) 없이 어지럽게 흩어진 모습을 비유(比喩)하는 말.

2) 세상(世上)이 몹시 혼란(混亂)스러움을 비유(比喩)하는 말.

 


 

장의(張儀)가 진()나라의 연횡을 위하여 위왕(魏王)을 설득하며 말하였다.

 

“위()나라의 땅은 사방이 천리에 이르지 못하며, 병사도 기껏해야 삼십만입니다.

 

땅은 사방이 평평하여 제후의 나라들과 사방으로 통하여 길게 막힘이 없이 트여있어 도움이 모이는 곳이며,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산이나 큰 천의 막힘도 없습니다.

 

()나라에서 위나라의 수도인 대량(大梁)에 도달하기까지는 겨우 일백 리입니다.

 

()나라에서 대량에 도달하기까지는 이백여 리입니다.

 

말을 몰고 사람이 달려가면 피곤을 느끼기도 전에 대량에 도달합니다.

 

남쪽은 초()나라와 국경을 같이하고, 서쪽은 한()나라와 국경을 같이하고, 북쪽은 조()나라와 국경을 같이하고, 동쪽은 제()나라와 국경을 같이 하니, 병사들은 사방을 지켜야 하며 초소를 지키는 사람들은 반열을 갖추고 여러 곳을 막아야 합니다.

 

식량과 세금을 배로 실어 곳간으로 나르는 데에도 병사 십만 명 아래로는 못합니다.

 

위나라의 형세는 나라 밖이 전쟁터 입니다.

 

위나라가 남쪽의 초나라와 협조하고 제나라를 멀리하면 제나라가 위나라의 동쪽을 칠 것입니다.

 

동쪽의 제나라와 협조하고 조나라를 멀리하면 조나라가 위나라의 북쪽을 칠 것입니다.

 

한나라와 화합하지 않으면 한나라가 위나라의 서쪽을 칠 것입니다.

 

초나라를 가까이하지 않으면 초나라가 위나라의 남쪽을 칠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사분오열의 길입니다.

 

구차하게 저 제후들은 합종을 하는 것이 사직을 편안하게 하여 왕을 공경하고, 병사를 강하게 하여 명성을 높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합종이라는 것은 모든 세상이 형제가 되기로 약속하는 것으로, 원수(洹水)의 앞에서 백마를 잡아 맹세를 하여 서로 굳건히 하는 것입니다.

 

무릇 한 부모에서 난 형제도 부모가 같은데도 오히려 돈과 재물로 탓하고 다툽니다.

 

그런데도 거짓을 되풀이하는 소진(蘇秦)의 얕은 계략을 믿으려 합니다.

 

그것은 완성할 수 없음이 이미 명료하게 드러났습니다.”

 


 

 

 

전국책(戰國策)은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 의 전략가(戰略家)들의 다양(多樣)한 책략(策略)이 기록(記錄)되어 있는 책()으로, 이 책을 통()해 당시(當時)의 치열(熾烈)했던 상황(狀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전국시대에는 강()한 세력(勢力)의 진()나라가 서(西)쪽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그 동()쪽에는 한(), (), (), (), (), () 여섯 나라가 남북(南北)으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당시 진나라는 강한 군사력(軍事力)을 바탕으로 세력 확장(擴張)을 위해 동쪽의 여섯 나라를 노리고 있었고, 진나라에 비해 세력이 약()했던 동쪽의 여섯 나라는 진나라의 동진(東進)을 대비(對備)하여 치열한 외교전(外交戰)을 펼쳤었습니다. 그리하여 동쪽의 여섯 나라가 힘을 모아 강대국(强大國)인 진나라에 대항(對抗)해야 한다는 합종설(合縱說), 진나라와 협력(協力)하여 안전(安全)을 확보(確保)해야 한다는 연횡설(連衡說)이 유행(流行)하였습니다.

 

소진(蘇秦)은 합종설을 주장(主張)한 사람으로, 동쪽의 여섯 나라를 위하여 각국(各國)을 돌아다니며 왕()들을 만나 여섯 나라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설득(說得)하였습니다. 이에 비()해 장의(張儀)는 연횡설을 주장한 사람으로, 각국을 돌아다니며 왕들을 만나 진나라와 협력해서 안전을 도모(圖謀)해야 한다고 설득하였습니다.

 

‘질서(秩序) 없이 어지럽게 흩어지다라는 뜻의 사분오열(四分五裂)은 장의가 위나라의 왕을 만나 연횡설을 주장하며 했던 말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출전(出典):

-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 장의위진련횡설위왕(張儀秦連橫說魏王)

 

※원문(原文):

張儀秦了橫,說魏王曰:「魏地方不至千里,卒不過三十萬。地四平,諸侯四通,條達輔湊,無有名山大川之阻。從鄭至梁,不過百里;從陳至梁,二百餘里。馬馳人趨,不待倦而至梁。南與楚境,西與韓境,北與趙境,東與恰境,卒戍四方,守亭障者參列。粟糧漕庾,不下十萬。魏之地勢,國外戰場也。魏南與楚而不與齊,則齊攻其東;東與齊而不與趙,則趙攻其北;不合於韓,則韓攻其西;不親於楚,則楚攻其南。此所謂四分五裂之道也。

 

「且夫諸侯之從者,以安社稷、尊主、兵、顯名也。合從者,一天下、約兄弟、刑白馬以盟於洹水之上以相堅也。夫親昆弟,同父母,郵政的錢財。而欲恃詐反覆蘇秦之餘謀,其不可以成亦明矣

 

※원문(原文) / 해석(解釋):

 

張儀秦連橫說魏王曰.

장의위진연횡설위왕왈.

장의(張儀)가 진()나라의 연횡(連橫)을 위()하여 위왕(魏王)을 설득(說得)하며 말하였다.

 

魏地方不至千里 卒不過三十萬.

위지방부지천리 졸불과삼십만.

()나라의 땅은 사방(四方)이 천리(千里)에 이르지 못하며, 병사(兵士)도 기껏해야 삼십만(三十萬)입니다.

 

地四平 諸侯四通 條達輔湊,

지사평 제후사통 조달보주,

땅은 사방이 평평(平平)하여 제후(諸侯)의 나라들과 사방으로 통()하여, 길게 막힘이 없이 트여있어 도움이 모이는 곳이며,

 

無有名山大川之阻.

무유명산대천지조.

이름이 세상(世上)에 널리 알려진 산()이나 큰 천()의 막힘도 없습니다.

 

從鄭至梁 不過百里.

종정지량 불과백리.

()나라에서 (위나라의 수도(首都)) 대량(大梁)에 도달하기까지는 겨우 일백(一百) ()입니다.

 

從陳至梁 二百餘里.

종진지량 이백여리.

()나라에서 대량에 도달하기까지는 이백여(二百餘) 리입니다.

 

馬馳人趨 不待倦而至梁.

마치인추 부대권이지량.

말을 몰고 사람이 달려가면 피곤(疲困)을 느끼기도 전에 대량에 도달(到達)합니다.

 

南與楚境 西與韓境 北與趙境 東與齊境,

남여초경 서여한경 북여조경 동여제경,

()쪽은 초()나라와 국경(國境)을 같이하고, (西)쪽은 한()나라와 국경을 같이하고, ()쪽은 조()나라와 국경을 같이하고, ()쪽은 제()나라와 국경을 같이 하니,

 

卒戍四方 守亭障者參列.

졸수사방 수정장자참렬.

병사들은 사방을 지켜야 하며, 초소(哨所)를 지키는 사람들은 반열(班列)을 갖추고 여러 곳을 막아야 합니다.

 

粟糧漕庾 不下十萬.

속량조유 불하십만.

식량(食糧)과 세금(稅金)을 배로 실어 곳간(庫間)으로 나르는 데에도 병사 십만(十萬) () 아래로는 못합니다.

 

魏之地勢 國外戰場也.

위지지세 국외전장야.

위나라의 형세(形勢)는 나라 밖이 전쟁(戰爭)터 입니다.

 

魏南與楚而不與齊 則齊攻其東.

위남여초이불여제 즉제공기동.

위나라가 남쪽의 초나라와 협조(協助)하고 제나라를 멀리하면, 제나라가 위나라의 동쪽을 칠 것입니다.

 

東與齊而不與趙 則趙攻其北.

동여제이부여조 즉조공기북.

동쪽의 제나라와 협조하고 조나라를 멀리하면, 조나라가 위나라의 북쪽을 칠 것입니다.

 

不合於韓 則韓攻其西.

불합어한 즉한공기서.

한나라와 화합하지 않으면 한나라가 위나라의 서쪽을 칠 것입니다.

 

不親於楚 則楚攻其南.

불친어초 즉초공기남.

초나라를 가까이하지 않으면 초나라가 위나라의 남쪽을 칠 것입니다.

 

此所謂四分五裂之道也.

차소위사분오열지도야.

이것이 이른바 사분오열(四分五裂)의 길입니다.

 

且夫諸侯之從者,

차부제후지위종자,

구차(苟且)하게 저 제후들은 합종(合從)을 하는 것이,

 

以安社稷尊主兵顯名也.

이안사직존주강병현명야.

사직(社稷)을 편안(便安)하게 하여 왕()을 공경(恭敬)하고, 병사를 강()하게 하여 명성(名聲)을 높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合從者 一天下 約兄弟,

합종자 일천하 약위형제,

합종(合從)이라는 것은 모든 세상이 형제(兄弟)가 되기로 약속(約束)하는 것으로,

 

刑白馬以盟於洹水之上以相堅也.

형백마이맹어원수지상이상견야.

원수(洹水)의 앞에서 백마(白馬)를 잡아 맹세(盟誓)를 하여 서로 굳건히 하는 것입니다.

 

夫親昆弟 同父母 郵政的錢財.

부친곤제 동부모 상우정적전재.

무릇 한 부모(父母)에서 난 형제도, 부모가 같은데도 오히려 돈과 재물(財物)로 탓하고 다툽니다.

 

而欲恃詐反覆蘇秦之餘謀.

이욕시사위반복소진지여모.

그런데도 거짓을 되풀이하는 소진(蘇秦)의 얕은 계략(計略)을 믿으려 합니다.

 

其不可以成亦明矣.

기불가이성역명의.

그것은 완성(完成)할 수 없음이 이미 명료(明瞭)하게 드러났습니다.”

 

※유의어(類義語):

- 삼분오열(三分五裂)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