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78) 良藥苦口利於病(양약고구이어병) 忠言逆耳利於行(충언역이이어행): 좋은 약은 입을 괴롭게 하지만 병에는 이롭고, 결함이나 잘못을 타이르는 말은 듣..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78)

 

 

子曰:「良藥苦口利於病,忠言逆耳利於行。」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약은 입을 괴롭게 하지만 병에는 이롭고,

 

결함이나 잘못을 타이르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에는 이롭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78)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良藥苦口利於病,

양약고구이어병,

“좋은 약()은 입을 괴롭게 하지만 병()에는 이()롭고,

 

忠言逆耳利於行.

충언역이이어행.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결함(缺陷)이나 잘못을 타이르는 말은 듣기 싫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參考(참고):

비슷한 글을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설원 정간편에는 양약(良藥), 공자가어 육본편에는 약주(藥酒), 사기 회남형산열전에는 독약(毒藥)으로 기록(記錄)되어 있으나, 모두 비슷한 뜻입니다.

 

良藥(양약): 좋은 약(). 효험(效驗)이 있는 좋은 약(). ②문제(問題)나 어려움을 해결(解決)할 수 있는 좋은 방법(方法)을 비유(比喩)하는 말. 좋은 처방(處方). 좋은 해결책(解決策).

藥酒(약주): 약성(藥性)을 포함한 술, ()으로 마시는 술. ②술을 높여 부르는 말.

毒藥(독약): ()을 고치는 약(). ②독성(毒性)을 가진 약제(藥劑).

*(): ()을 고치다. ②()이 있다. 독성(毒性)이 있다. ③유독(有毒)하다. 유해(有害)하다. ()롭다. ……

 

- 1)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藥酒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약주고어구이리어병 충언역어이이리어행.

 

- 2)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良藥苦於口 利於病, 忠言逆於耳 利於行.

양약고어구 이어병, 충언역어이 이어행.

 

- 3)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毒藥苦於口利於病 忠言逆於耳利於行.

독약고어구리어병 충언역어이리어행.

 

※出典(출전):

- 1)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 2)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 3) 사기(史記) 회남형산열전(淮南衡山列傳)

 

※原文(원문):

- 공자가어(孔子家語) 육본편(六本篇)

孔子曰:「藥酒苦於口而利於病,忠言逆於耳而利於行。湯、武以諤諤而昌,桀、紂以唯唯而亡。君無爭臣,父無爭子,兄無爭弟,士無爭友,無其過者,未之有也。故曰:君失之,臣得之;父失之,子得之;兄失之,弟得之;己失之,友得之。是以國無危亡之兆,家無悖亂之惡,父子兄弟無失,而交友無也。

 

※原文(원문) / 解釋(해석):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