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10) 欺心即欺天(기심즉기천) 莫道天不知(막도천부지): 자기의 양심을 속인다는 것은 바로 하늘을 속이는 것과 같은데, 하늘이 모를 것이라는 말은 하지 마..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10)

 

 

世人要瞞人,分明把心欺。欺心欺天,莫道天不知。天在屋頭,須有聽得時。道不聽得,古今放過誰?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속이려면 먼저 자기의 양심을 속여야 한다.

 

자기의 양심을 속인다는 것은 바로 하늘을 속이는 것과 같은데,

 

하늘이 모를 것이라는 말은 하지 마라.

 

하늘은 지붕의 처마끝과 같이 사람들의 가까운 곳에 있어서,

 

사람들이 하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그대는 하늘이 아무 것도 알지 못할 것이라고 말을 하지만,

 

옛날부터 지금까지 하늘을 속이고 무사한 사람이 있었는가?

 

 

 

-

 

 

明心寶鑑(명심보감) 天理篇(천리편) (10)

 

世人要瞞人 分明把心欺.

세인요만인 분명파심기.

세상(世上) 사람이 만약(萬若) 다른 사람을 속이면, 틀림없이 마음을 속인다.

(세상(世上) 사람들이 만약(萬若) 다른 사람을 속이려면, 틀림없이 자기(自己)의 양심(良心)을 속여야 한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속이려면, 먼저 자기(自己)의 양심(良心)을 속여야 한다.)

 

欺心欺天 莫道天不知.

기심즉기천 막도천부지.

마음을 속이는 것은 바로 하늘을 속이는 것인데, 하늘이 알지 못한다고 말하지 마라.

(자기의 양심을 속인다는 것은 바로 하늘을 속이는 것과 같은데, 하늘이 모를 것이라는 말은 하지 마라.)

 

天在屋 須有聽得時.

천재옥첨두 수유청득시.

하늘은 지붕의 처마끝에 있어서, 틀림없이 듣거나 알 때가 있다.

(하늘은 지붕의 처마끝과 같이 사람들의 가까운 곳에 있어서, 사람들이 하는 모든 것을 알고 있다.)

 

道不聽得 古今放過誰?

니도불청득 고금방과수?

그대는 듣거나 알지 못한다고 말하지만, 옛날부터 지금(只今)까지 누구를 그대로 지나쳤는가?

(그대는 하늘이 아무 것도 알지 못할 것이라고 말을 하지만, 옛날부터 지금(只今)까지 하늘을 속이고 무사(無事)한 사람이 있었는가?)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