膽欲大而心欲小, 담욕대이심욕소, “담력(膽力)은 커야 하지만 마음은 세심(細心)해야 하며,
膽(담): 담(膽). 담력(膽力). 용기(勇氣). 欲(욕): ~을 해야 한다. 大(대): 크다. 而(이): ~나. ~이나. ~지만. ~이지만. ~아니라. ~면서. ~고서. ~하고서. ~하더라도. 그러나. 그런데. 그런데도. 오히려. [역접(逆接)을 나타냄.]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小(소): 소리/면적(面積)/용량(容量)/체적(體積) 따위가 작다. 수량(數量)이 적다. 정도(程度)가 낮다/얕다. 나이가 어리다/젊다. 힘/강도(强度) 따위가 약하다. 도량(度量)/장소(場所) 따위가 좁다/협소(狹小)하다. 시간(時間)이 짧다. 지위(地位)가 낮다. / 여기에서는 ‘세심(細心)하다’의 뜻으로 해석(解釋)함. *膽大心小(담대심소): 담력(膽力)은 크게 가지되 마음은 세심(細心)해야 한다는 뜻. 문장(文章)을 지을 때의 자세(姿勢)를 뜻하는 말. *細心(세심): 작은 일에도 꼼꼼하게 주의(主意)를 기울여 빈틈이 없음.
智欲圓而行欲方. 지욕원이행욕방. 지혜(智慧)는 둥글어야 하지만, 행실(行實)은 네모져야 한다.” 지혜(智慧)는 빈틈없어야 하지만, 행실(行實)은 정직(正直)해야 한다.” (지혜(智慧)는 어떤 일이든 여러 가지 수단(手段)을 활용(活用)하여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정도(程度)로 완벽(完璧)하게 갖추어야 하지만, 행실(行實)은 여러 가지 수단 중(中)에서 올바른 것을 선택(選擇)해서 행(行)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