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34) 誠無悔(성무회) 恕無怨(서무원) 和無仇(화무구) 忍無辱(인무욕): 정성을 다하면 후회할 일이 없고, 어질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면 원망..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34)


《景行錄》云:「誠無悔,恕無怨,和無仇,忍無辱。」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정성을 다하면 후회할 일이 없고,


어질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면 원망할 사람이 없으며,


다른 사람과 화목하게 어울리면 적으로 여길 사람이 없으며,


참으면 모욕을 당할 일이 없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明心寶鑑(명심보감) 存心篇(존심편) (34)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誠無悔,
성무회,
“성실(誠實)하면 후회(後悔)하지 않으며,
(정성(精誠)을 다하면 후회(後悔)할 일이 없고,)


恕無怨,
서무원,
너그러우면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어질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對)하면 원망(怨望)할 사람이 없으며,)


和無仇,
화무구,
화합(和合)하면 적(敵)으로 여기지 않으며,
(다른 사람과 화목(和睦)하게 어울리면 적(敵)으로 여길 사람이 없으며,)


忍無辱.
인무욕.
참으면 모욕(侮辱)을 당(當)하지 않는다.”
(참으면 모욕(侮辱)을 당(當)할 일이 없다.)


★★★★★★★★★★★★★★★★★★★★
☆☆☆☆☆☆☆☆☆☆☆☆☆☆☆☆☆☆☆☆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