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의 폐단과 해악을 비유하는 말.


苛政猛於虎.

가정맹어호.

가혹(苛酷)한 정치(政治)는 호랑이보다 사납다.

1) 가혹(苛酷)한 정치(政治)의 폐단(弊端)과 해악(害惡)을 비유(比喩)하는 말.

 


 

공자가 태산 옆을 지나가는데, 어떤 부인이 무덤가에서 소리 내어 울며 슬퍼하고 있었다.

 

공자는 무덤을 향해 절을 하고 우는 소리를 들었다. 자공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게 하자, 자공이 말하였다.

 

“당신의 우는 소리에는 많은 근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자 울고 있던 부인이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이전에 호랑이에게 저의 시아버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저의 남편도 호랑이에게 죽었는데, 오늘은 저의 아들이 또 호랑이에게 죽었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소?”

 

부인이 말하였다.

 

“이곳에는 가혹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와 부역이 없기 때문입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제자들은 이것을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와 부역은 호랑이보다 사나운 것이다.”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들이 태산(泰山)을 지나가던 중(), 무덤가에서 슬프게 울고 있는 한 부인(婦人)을 만났습니다.

 

공자가 제자를 시켜 그 이유(理由)를 묻자, 그 부인은 시()아버지와 남편(男便)에 이어 아들까지 온 가족(家族)이 호랑이에게 죽임을 당()하였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이에 공자가 사람을 잡아먹는 호랑이가 있는 곳을 왜 떠나지 않는지를 묻자, 그 부인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無苛政.

무가정.

“이곳에는 가혹(苛酷)한 정치(政治)가 없습니다.”

(이곳에는 가혹(苛酷)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租稅)와 부역(賦役)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인의 말을 들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小子識之 苛政猛於虎也.

소자식지 가정맹어호야.

“제자들은 이것을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

(제자들은 이것을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와 부역은 호랑이보다 사나운 것이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라는 뜻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는 공자의 이 말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古事成語) 입니다.

 

 

※출전(出典):

- 禮記(예기) 檀弓下篇(단궁하편)

 

※원문(原文):

孔子過泰山側,有婦人哭於墓者而哀,夫子式而聽之。使子貢問之曰:「子之哭也,壹似重有憂者。」而曰:「然,昔者吾舅死於虎,吾夫又死焉,今吾子又死焉。」夫子曰:「何不去也?」曰:「無苛政。」夫子曰:「小子識之,苛政猛於虎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孔子過泰山側 有婦人哭於墓者而哀.

공자과태산측 유부인곡어묘자이애.

공자(孔子)가 태산(泰山) 옆을 지나가는데, 어떤 부인(婦人)이 무덤가에서 소리 내어 울며 슬퍼하고 있었다.

 

夫子式而聽之.

부자식이청지.

공자는 절을 하고 우는 소리를 들었다.

(공자는 무덤을 향()해 절을 하고 우는 소리를 들었다.)

 

使子貢問之曰.

사자공문지왈.

자공(子貢)에게 물어보게 하였더니 말하였다.

(자공(子貢)에게 그 이유(理由)를 물어보게 하자, 자공이 말하였다.)

子貢(자공):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나라 사람으로, 공자(孔子)의 제자(弟子). ()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 자공(子貢)은 그의 자(). 공자의 여러 제자들 중 특()히 뛰어난 열 명()을 가리키는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子之哭也 壹似重有憂者.

자지곡야 일사중유우자.

“당신(當身)의 우는 소리에는, 많은 근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而曰.

이왈.

그러자 말하였다.

(그러자 울고 있던 부인이 말하였다.)

 

然 昔者吾舅死於虎.

연 석자오구사어호.

“그렇습니다. 이전(以前)에 호랑이에게 저의 시()아버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吾夫又死焉 今吾子又死焉.

오부우사언 금오자우사언.

저의 남편(男便)도 죽었는데, 오늘은 저의 아들이 또 죽었습니다.”

(저의 남편(男便)도 호랑이에게 죽었는데, 오늘은 저의 아들이 또 호랑이에게 죽었습니다.)

 

夫子曰.

부자왈.

공자가 말하였다.

 

何爲不去也.

하위불거야.

“어찌하여 떠나지 않소?”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소?)

 

.

.

말하였다.

(부인이 말하였다.)

 

無苛政.

무가정.

“가혹(苛酷)한 정치(政治)가 없습니다.”

(이곳에는 가혹(苛酷)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租稅)와 부역(賦役)이 없기 때문입니다.)

苛政(가정): 가혹(苛酷)한 정치(政治). 백성(百姓)을 괴롭히는 정치(政治). 포학(暴虐)한 정치(政治). 虐政(학정).

租稅(조세): 국가(國家)가 필요(必要)한 경비(經費)로 쓰기 위()하여 백성(百姓)으로부터 강제(强制)로 거두어들이는 금전(金錢).

賦役(부역): 국가(國家)가 대가(代價) 없이 백성(百姓)에게 의무적(義務的)으로 시키는 노역(勞役).

 

夫子曰.

부자왈.

공자가 말하였다.

 

小子識之 苛政猛於虎也.

소자식지 가정맹어호야.

“제자들은 이것을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

(제자들은 이것을 기억해 두어라. 가혹한 법이나 지나친 조세와 부역은 호랑이보다 사나운 것이다.)

 

※유의어(類義語):

- 가렴주구(苛斂誅求)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