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8) 改過當如雷之烈(개과당여뢰지렬): 잘못은 고치는 것은 천둥이 내리치듯이 세차고 빠르게 해야 한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8)

 

 

《近思錄》云:「遷善當如風之速,改過當如雷之烈。」

 

근사록(近思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선을 행하는 것은 바람이 불듯이 빠르게 해야 하며,

 

잘못은 고치는 것은 천둥이 내리치듯이 세차고 빠르게 해야 한다.”

 

 

 

근사록(近思錄)은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주무숙(周茂叔),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장재(張載) 등의 저서나 어록 중에서 수양에 도움이 되는 부분을 추려내어 14권으로 편찬한 책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8)

 

近思錄云.

근사록운.

근사록(近思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遷善當如風之速,

천선당여풍지속,

()을 따르는 것은 반드시 바람의 빠르기와 같아야 하며,

(()을 행()하는 것은 바람이 불듯이 빠르게 해야 하며,)

 

改過當如雷之烈.

개과당여뢰지렬.

잘못을 고치는 것은 반드시 천둥의 맹렬(猛烈)함과 같아야 한다.”

(잘못은 고치는 것은 천둥이 내리치듯이 세차고 빠르게 해야 한다.)

 

 

※參考(참고):

- /(), (), ().

 

/()이 아닌 결()로 기록(記錄)되어 있는 이본(異本)도 있으며, 주자어류(朱子語類)에는 천선여풍지속(遷善如風之速) 개과여뢰지(改過如雷之)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세차다. ()하다. 강렬(强烈)하다. 맹렬(猛烈)하다. 열렬(熱烈)하다.

*(): 과감(果敢)하다. 과단성(果斷性)이 있고 용감(勇敢)하다.

*(): 세차다. 맹렬(猛烈)하다.

*猛烈(맹렬): 기세(氣勢)가 몹시 사납고 세참.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실려 있는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出典(출전):

- 주자어류(朱子語類)

 

※原文(원문):

「某昨日思『風雷,益,君子以遷善、改過』。遷善如風之速,改過如雷之猛!」祖道曰:「莫是才遷善,便是改過否?」曰;「不然,『遷善』字輕,『改過』字重。遷善如慘淡之物,要使之白;改過如黑之物,要使之白;用力自是不同。遷善者,但見是人做得一事似我,心有所未安,便遷之。儒用錄云:「只消當下遷過就他底。」若改過,須是大段勇猛始得。」又曰:「公所說蒙與蠱二象,有意思。如『山下有澤,損,君子以懲忿、窒慾』,必是降下山以塞其澤,便是此象。六十四卦象皆如此。」祖道

 

※原文(원문) / 解釋(해석):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