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2) 愚者若駑馬也(우자약노마야):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느리고 둔한 말과 같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2)

 

 

《直言訣》曰:「聞過不改,是謂過矣。愚者若駑馬也。駑馬自受鞭策,愚人終受毀捶,而不漸其駕也。」

 

직언결(直言訣)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 한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느리고 둔한 말과 같다.

 

느리고 둔한 말은 빨리 가지 아니하여 채찍질을 당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도 고치지 아니하여 항상 비웃음과 매질을 당하는데도,

 

잘못을 고치지 못한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2)

 

直言訣曰.

직언결왈.

직언결(直言訣)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聞過不改 是謂過矣.

문과불개 시위과의.

“잘못을 듣고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 한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 한다.)

 

愚者若駑馬也.

우자약노마야.

어리석은 사람은 느리고 둔()한 말과 같다.

(잘못을 깨닫고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느리고 둔()한 말과 같다.)

 

駑馬自受鞭策 愚人終受毀捶,

노마자수편책 우인종수훼추,

느리고 둔한 말은 스스로 채찍질을 당()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항상(恒常) 비웃음과 매질을 당하는데도,

(느리고 둔한 말은 빨리 가지 아니하여 채찍질을 당()하고, 어리석은 사람은 잘못을 저지른 것을 깨닫고도 고치지 아니하여 항상(恒常) 비웃음과 매질을 당하는데도,)

 

而不漸其駕也.

이부점기가야.

그 멍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잘못이라는 멍에를 벗어나지 못한다.)

(잘못을 고치지 못한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