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3) 道吾惡者是吾師(도오악자시오사): 나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 주는 사람은 나를 가르쳐서 바른 길로 인도하려는 사람이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3)

 

 

道吾惡者是吾師,道吾好者是吾賊。

 

나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 주는 사람은 나를 가르쳐서 바른 길로 인도하려는 사람이며,

 

나의 훌륭한 점만을 말하는 사람은 나에게 해를 끼치려는 사람이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3)

 

道吾惡者是吾師,

도오악자시오사,

나의 잘못을 말하는 사람은 나의 스승이며,

(나의 잘못된 점()을 지적(指摘)해 주는 사람은 나를 가르쳐서 바른 길로 인도(引導)하려는 사람이며,)

 

道吾好者是吾賊.

도오호자시오적.

나의 훌륭함을 말하는 사람은 나의 적()이다.

(나의 훌륭한 점만을 말하는 사람은 나에게 해()를 끼치려는 사람이다.)

 

 

※出典(출전):

- 설원(說苑) 정간편(正諫篇)

 

※參考(참고):

설원(說苑)의 정간편(正諫篇)에는 다음과 같은 글도 실려 있습니다.

 

孔子曰.

공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良藥苦於口 利於病, 忠言逆於耳 利於行.

양약고어구 이어병, 충언역어이 이어행.

“좋은 약()은 입에는 쓰지만 병()에는 이()로우며, 충고(忠告)하는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행실(行實)에는 이롭다.”

 

※原文(원문):

孔子曰:「良藥苦於口,利於病;忠言逆於耳,利於行。故武王諤諤而昌,紂嘿嘿而亡,君無諤諤之臣,父無諤諤之子,兄無諤諤之弟,夫無諤諤之婦,士無諤諤之友;其亡可立而待。故曰君失之,臣得之;父失之,子得之;兄失之,弟得之;夫失之,婦得之;士失之,友得之。故無亡國破家,悖父亂子,放兄棄弟,狂夫淫婦,交敗友。

 

※原文(원문) / 解釋(해석):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