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5)
《景行錄》云:「寡言擇交,可以無悔吝,可以免憂辱。」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말을 적게 하고 좋은 벗을 골라 사귀면,
후회하거나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고,
근심과 치욕에서 벗어날 수 있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5)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寡言擇交,
과언택교,
“말이 적고 가려서 사귀면,
(말을 적게 하고 좋은 벗을 골라 사귀면,)
寡(과): 많지 않다. 적다. 모자라다. 부족(不足)하다.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寡言(과언): 말이 적음. 말이 없음. 말수(數)가 적음. 과묵(寡默)함. 과언(寡言)함.
擇(택): 가리다. 고르다. 선택(選擇)하다. 택(擇)하다.
交(교): 오고 가다. 사귀다. 교제(交際)하다. 왕래(往來)하다. 연락(連絡)하다.
擇交(택교): 벗을 가리어서 사귐. 좋은 벗을 골라 사귐. 친구(親舊)를 선택(選擇)함.
可以無悔吝,
가이무회린,
후회(後悔)하거나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고,
(후회(後悔)하거나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수 있고,)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可以(가이): ~할 수 있다. 가능(可能)하다. [가능(可能)이나 능력(能力)을 나타냄.]
無(무): 아니하다. ~하지 않다. 불(不)의 뜻.
悔(회): 뉘우치다. 후회(後悔)하다.
吝(린): 내놓기 아까워하다. 다랍다. 주기를 꺼리다. 쩨쩨하다. 인색(吝嗇)하다. / 여기에서는 ‘잘못을 깨닫고 고치는 것에 인색(吝嗇)하다’, ‘잘못을 저지르다’라는 뜻으로 해석(解釋)함.
可以免憂辱.
가이면우욕.
근심과 치욕(恥辱)을 피(避)할 수 있다.”
(근심과 치욕(恥辱)에서 벗어날 수 있다.)
免(면): 벗어나다. 비키다. 모면(謀免)하다. 면(免)하다. 피(避)하다.
憂(우): 근심. 걱정. 고민(苦悶). 우환(憂患). 재난(災難). 재앙(災殃). 화(禍). 환난(患難).
辱(욕): 치욕(恥辱). 수치(羞恥).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