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8)
《景行錄》云:「寡言則省謗,寡欲則保身。」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말을 적게 하면 헐뜯는 말을 줄일 수 있고,
욕심을 줄이면 자기의 몸을 온전히 지킬 수 있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09004C5C4012F61F)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28)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寡言則省謗,
과언즉생방,
“말이 적으면 비방(誹謗)을 덜고,
(말을 적게 하면 헐뜯는 말을 줄일 수 있고,)
寡(과): 많지 않다. 적다. 모자라다. 부족(不足)하다.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寡言(과언): 말이 적음. 말이 없음. 말수(數)가 적음. 과묵(寡默)함. 과언(寡言)함.
則(즉): ~면. ~하면. ~하면 곧. ~한다면. ~한다면 곧. ~할 때에는. ~하는 경우(境遇)라면. ~하는 경우(境遇)라면 곧. ~하면 ~하다. [인과(因果) 관계(關係)나 조건(條件)을 나타냄.]
省(생): 덜다. 줄어들다. 줄이다. 빼다. 생략(省略)하다.
*덜다: (주(主)로 상태(狀態)나 행위(行爲)를 나타내는 명사(名詞)와 함께 쓰여) 그러한 행위나 상태를 적게 하다.
謗(방): 헐뜯는 말. 비방(誹謗).
*誹謗(비방): 헐뜯음. 다른 사람을 헐뜯어 말함. 다른 사람을 비웃고 헐뜯어서 말함. 비난(非難)함. 중상(中傷)함. 중상모략(中傷謀略)함. 험담(險談)함.
寡欲則保身.
과욕즉보신.
욕심(欲心)이 적으면 몸을 보전(保全)한다.”
욕심(欲心)을 줄이면 자기(自己)의 몸을 온전(穩全)히 지킬 수 있다.)
欲(욕): 욕심(慾心). 욕망(慾望).
寡欲(과욕): 욕심(欲心)이 적음.
保(보): 지키다. 보호(保護)하다. 보위(保衛)하다. 보전(保全)하다.
身(신): 몸. 몸뚱이. 신체(身體).
*保全(보전): 온전(穩全)하게 보호(保護)하여 유지(維持)함.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