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7) 節食養胃(절식양위) 淸心養神(청심양신): 음식을 절제하여 위장을 다스리고, 마음을 맑게 하여 정신을 수양하라.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7)

 

 

《景行錄》云:「節食養胃,心養神。口腹不節,致疾之因。念慮不正,殺身之本。」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음식을 절제하여 위장을 다스리고,

 

마음을 맑게 하여 정신을 수양하라.

 

음식을 절제하지 않는 것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올바르지 않은 생각은 자기를 망치는 근원이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7)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節食養胃 淸心養神.

절식양위 청심양신.

“음식(飮食)을 절제(節制)하여 위장(胃臟)을 다스리고, 마음을 맑게 하여 정신(精神)을 수양(修養)하라.

 

口腹不節 致疾之因.

구복부절 치질지인.

입과 배가 절제하지 않는 것이, ()을 일으키는 원인(原因)이다.

(음식을 절제하지 않는 것이, ()을 일으키는 원인(原因)이다.)

 

念慮不正 殺身之本.

염려부정 살신지본.

생각이 올바르지 않은 것이, 자기(自己)를 망치는 근원(根源)이다.”

(올바르지 않은 생각은 자기(自己)를 망치는 근원(根源)이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