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8)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배부름과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8)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食無求飽,
군자식무구포,
“군자(君子)는 먹으며 배부르기를 추구(追求)하지 않으며,
(군자(君子)는 음식(飮食)을 먹을 때는 배부르게 먹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삼지 않으며,)
居無求安.
거무구안.
거주(居住)하며 편안(便安)하기를 추구하지 않는다.”
(머물러 살 때는 편안(便安)하게 사는 것을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
※出典(출전):
-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原文(원문):
子曰:「君子食無求飽,居無求安,敏於事而慎於言,就有道而正焉,可謂好學也已。」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