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47)
《性理書》云:「修身之要:言忠信,行篤敬,懲忿窒欲,遷善改過。」
성리서(性理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마음과 행실을 바르게 닦아 수양하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
말은 충성스럽고 믿음직해야 하며,
행실은 성실하고 신중하게 해야 하며,
화를 경계하고 욕심을 억누르며,
선을 따르고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성리서(性理書)는 성리학(性理學)에 관한 책을 말합니다. 성리학은 중국 송(宋)나라와 명(明)나라 시대 유학의 한 계통으로, 주돈이(周敦頤)/정호(程顥)/정이(程頤) 등이 기초를 닦고 주희(朱熹)가 집대성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47)
性理書云.
성리서운.
성리서(性理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修身之要.
수신지요.
“수신(修身)의 요점(要點).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하는데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
言忠信 行篤敬,
언충신 행독경,
말은 충성(忠誠)스럽고 믿음직하며, 행실(行實)은 성실(誠實)하고 신중(愼重)하며,
(말은 충성(忠誠)스럽고 믿음직해야 하며, 행실(行實)은 성실(誠實)하고 신중(愼重)하게 해야 하며,)
懲忿窒欲 遷善改過.
징분질욕 천선개과.
화(火)를 경계(警戒)하고 욕심(欲心)을 억누르며, 선(善)을 따르고 잘못을 바로잡아라.”
(화(火)를 경계(警戒)하고 욕심(欲心)을 억누르며, 선(善)을 따르고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出典(출전):
1)언충신(言忠信) 행독경(行篤敬)
-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2) 징분질욕(懲忿窒欲)
- 역경(易經)
3) 개과천선(改過遷善)
- 진서(晉書) 열전제이십팔(列傳第二十八) 주처(周處) 주방(周訪)
- 역경(易經)
※原文(원문):
1) 언충신(言忠信) 행독경(行篤敬)
-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원문(原文):
子張問行。子曰:「言忠信,行篤敬,雖蠻貊之邦行矣;言不忠信,行不篤敬,雖州里行乎哉?立,則見其參於前也;在輿,則見其倚於衡也。夫然後行。」子張書諸紳。
2) 징분질욕(懲忿窒欲)
- 역경(易經)
損: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曷之用,二簋可用享。
損,損下益上,其道上行。損而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曷之用?二簋可用享;二簋應有時。損剛益柔有時,損益盈虛,與時偕行。
山下有澤,損;君子以懲忿窒欲。
3) 개과천선(改過遷善)
개과천선(改過遷善)은 중국(中國) 진(晉)나라 사람인 주처(周處)의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되었다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진서(晉書) 열전(列傳)에서 관련(關聯)된 내용(內容)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역경(易經)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어, 아래에 같이 소개(紹介)합니다.)
- 진서(晉書) 열전제이십팔(列傳第二十八) 주처(周處) 주방(周訪)
周處,字子隱,義興陽羨人也。父魴,吳鄱陽太守。處少孤,未弱冠,膂力絕人,好馳騁田獵,不修細行,縱情肆慾,州曲患之。處自知為人所惡,乃慨然有改勵之志,謂父老曰:「今時和歲豐,何苦而不樂耶?」父老歎曰:「三害未除,何樂之有!」處曰:「何謂也?」答曰:「南山白額猛獸,長橋下蛟,并子為三矣。」處曰:「若此為患,吾能除之。」父老曰:「子若除之,則一郡之大慶,非徒去害而已。」處乃入山射殺猛獸,因投水搏蛟,蛟或沈或浮,行數十里,而處與之俱,經三日三夜,人謂死,皆相慶賀。處果殺蛟而反,聞鄉里相慶,始知人患己之甚,乃入吳尋二陸。時機不在,見雲,具以情告,曰:「欲自修而年已蹉跎,恐將無及。」雲曰:「古人貴朝聞夕改,君前途尚可,且患志之不立,何憂名之不彰!」處遂勵志好學,有文思,志存義烈,言必忠信克己。期年,州府交辟。仕吳為東觀左丞。孫皓末,為無難督。及吳平,王渾登建鄴宮釃酒,既酣,謂吳人曰:「諸君亡國之餘,得無戚乎?」處對曰:「漢末分崩,三國鼎立,魏滅於前,吳亡於後,亡國之戚,豈惟一人!」渾有慚色。
- 역경(易經)
益:利有攸往,利涉大川。
益,損上益下,民說无疆,自上下下,其道大光。利有攸往,中正有慶。利涉大川,木道乃行。益動而巽,日進无疆。天施地生,其益无方。凡益之道,與時偕行。
風雷,益;君子以見善則遷,有過則改。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