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48)
《景行錄》云:「凡修身為學,不在文字言語中,只平日待人接物便是。取非其有謂之盜,欲非其有謂之賊。」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수신과 위학, 즉 마음과 행실을 바르게 닦아 수양하고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란,
문자와 언어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평상시 다른 사람을 대하고 사물을 접하는 것이 바로 수신과 위학이다.
다른 사람의 물건을 아무런 대가없이 취하는 행동을 도둑질이라고 하며,
다른 사람의 물건을 아무런 대가없이 원하는 사람을 도둑이라고 한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48)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凡修身爲學,
범수신위학,
“무릇 수신(修身)과 위학(爲學)이란,
(수신(修身)과 위학(爲學), 즉(卽)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하고 학문(學問)이나 기술(技術)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란,)
凡(범): 모든. 무릇. 대저(大抵). 대체(大體)로. 대체(大體)로 보아. 대체(大體)로 헤아려 생각하건대.
修(수): (행실(行實), 학문(學問), 기예(技藝) 따위를) 닦다. 익히다. 배워서 닦다. 연구(硏究)하다. 학습(學習)하다.
身(신): 나. 스스로.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修身(수신):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악(惡)을 물리치고 선(善)을 북돋아서 마음과 행실(行實)을 바르게 닦아 수양(修養)함. 심신(心身)을 도야(陶冶)하고 덕성(德性)을 함양(涵養)함.
爲(위): 하다. 행(行)하다. 행동(行動)하다. 만들다.
學(학): 지식(知識). 학문(學問). 학식(學識).
爲學(위학): 배움. 익힘. 공부(工夫)함. 학문(學問)이나 기술(技術)을 배우고 익힘. 학문(學問)함. 학문(學問)을 닦음. 학문(學問)에 힘씀.
不在文字言語中 只平日待人接物便是.
부재문자언어중 지평일대인접물변시.
문자(文字)와 언어(言語)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但只) 평상시(平常時) 사람을 대(對)하고 사물(事物)을 접(接)하는 것이 바로 이것.
(문자(文字)와 언어(言語)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但只) 평상시(平常時) 다른 사람을 대(對)하고 사물(事物)을 접(接)하는 것이 바로 마음과 행실을 바르게 닦아 수양하고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不(부): 아니다. 비(非)의 뜻.
在(재): ~에 달려 있다. ~에 있다.
文(문): 글. 글월. 문장(文章).
字(자): 글자(字). 문자(文字).
文字(문자): 글자(字). 문자(文字).
言(언): 말. 말씀. 이야기. 언어(言語).
語(어): 말. 말씀. 이야기.
言語(언어):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자(字)로 나타내는 수단(手段).
中(중): 안. 속.
只(지): 겨우. 다만. 오로지. 오직. 한갓. 한낱. 뿐. 단지(但只). (범위(範圍)를 한정(限定)하여 이밖에 다른 것은 없음을 표시(表示).
平(평): 평상시(平常時). 보통(普通) 때.
日(일): 날. 하루. 주야(晝夜). 지구가 한 번 자전(自轉)하는 동안.
平日(평일): 보통 때. 평상시(平常時). 평소(平素).
待(대): 대(對)하다. 사람을 대(對)하다. 우대(偶對)하다. 마주 대(對)하다.
人(인): 사람. 인간(人間).
待人(대인): 사람과 어울림. 함께 지냄. 사람을 대(對)함. 사람을 상대(相對)함.
接(접): 가까이 가다. 닿다. 맞대다. 접(接)하다. 접근(接近)하다. 접촉(接觸)하다.
物(물): 물건(物件). 물질(物質). 물체(物體). 물품(物品). 사물(事物). 재물(財物).
接物(접물): 사물(事物)을 접함.
便(변): 바로. 곧.
是(시): 이. 이것.
取非其有謂之盜,
취비기유위지도,
자기(自己)의 소유(所有)가 아닌 것을 취(取)하는 것은 도둑질이라고 하며,
(다른 사람의 물건(物件)을 아무런 대가(代價)없이 취(取)하는 행동(行動)을 도둑질이라고 하며,)
取(취): 가지다. 손에 들다. 쥐다. 취(取)하다.
非(비): 아니다. [부정(不定)을 나타냄. 불(不)의 뜻.]
其(기): 그. 그것. 그녀. 그들. 그것들. 그녀들. [인칭(人稱) 대명사(代名詞).]
有(유): 소유(所有).
謂(위): ~라고 하다. ~라고 부르다. ~라고 일컫다.
之(지): -
盜(도): ❶도둑질. ②도둑. 강도(强盜).
欲非其有謂之賊.
욕비기유위지적.
자기의 소유가 아닌 것을 원(願)하는 것은 도둑이라고 한다.”
(다른 사람의 물건을 아무런 대가없이 원(願)하는 사람을 도둑이라고 한다.)
자기의 소유가 아닌 것을 원(願)하는 것은 사악(邪惡)하다라고 한다.”
(다른 사람의 물건을 아무런 대가없이 원(願)하는 마음을 사악(邪惡)하다라고 한다.)
欲(욕): ~을 하고자 하다. 원(願)하다. 바라다. 희망(希望)하다.
賊(적): ❶도둑. 도적(盜賊). ②도둑질. ③나쁘다. 사악(邪惡)하다. 부정(不正)하다. 요사(妖邪)하다. 올바르지 않다. ……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