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50)
《景行錄》云:「定心應物,雖不讀書,可以為有德君子。」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안정된 마음으로 만물을 대한다면,
비록 배우지 못하였더라도 덕을 갖춘 군자라고 할 수 있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50)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定心應物,
정심응물,
“마음을 가라앉히고 만물(萬物)을 대(對)한다면,
(안정(安定)된 마음으로 만물(萬物)을 대(對)한다면,)
定(정): 가라앉히다. 안정(安定)시키다. 진정(鎭靜)시키다.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定心(정심): 마음을 가라앉힘. 마음을 굳힘. 마음을 놓게 함. 안심(安心)시킴. 진정(鎭靜)시킴.
應(응): 대응(對應)하다. 대처(對處)하다. 대항(對抗)하다. 응대(應對)하다. 응수(應酬)하다.
物(물): 동물(動物). 만물(萬物).
雖不讀書 可以爲有德君子.
수부독서 가이위유덕군자.
비록 책(冊)을 읽지 않았더라도, 덕(德)을 갖춘 군자(君子)라고 생각할 수 있다.”
(비록 배우지 못하였더라도, 덕(德)을 갖춘 군자(君子)라고 할 수 있다.)
雖(수): 비록/설사(設使)/설령(設令)/혹시(或是) ~이더라도/이지만.
不(부): 아니하다.
讀(독): 보다. 읽다. 열독(閱讀)하다. 열람(閱覽)하다.
書(서): 책(冊).
讀書(독서): 배움. 익힘. 공부(工夫)함. 학문(學問)이나 기술(技術)을 배우고 익힘.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可以(가이): ~할 수 있다. 가능(可能)하다. [가능(可能)이나 능력(能力)을 나타냄.]
爲(위): ~라고 생각하다. ~라고 여기다. ~으로 간주(看做)하다.
有(유): 가지다. 가지고 있다. 갖추고 있다. 소유(所有)하다. 소지(所持)하다.
德(덕): 덕(德). 도덕(道德). 품행(品行). 정치적(政治的) 자질(子姪). 공정(公正)하고 포용성(包容性)있는 마음이나 품성(品性). 도덕적(道德的)/윤리적(倫理的) 이상(理想)을 실현(實現)해 나가는 인격적(人格的) 능력(能力).
有德(유덕): 덕(德)이 있음. 덕(德)을 갖춤. 덕德)을 갖추고 있음. 덕망(德望)이 있음. 덕행(德行)이 있음.
君(군): 어진 사람. 어진 이. 군자(君子). 현자(賢者).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君子(군자): 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小人(소인): 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