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5)
人非賢莫交,物非義莫取,忿非善莫舉,事非是莫說。謹則無憂,忍則無辱,靜則常安,儉則常足。
어질지 않은 사람은 사귀지 말고,
정당하지 않은 물건은 받지 마라.
선한 일을 위해서가 아니라면 분노를 일으키지 말고,
옳지 않은 일은 말하지 마라.
말과 행동을 조심하면 근심할 일이 없고,
충동을 억누르고 감정을 다스리면 모욕을 당할 일이 없다.
성품과 태도가 침착하고 단정하면 항상 편안하고,
낭비하지 않으면 항상 넉넉하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5)
人非賢莫交 物非義莫取,
인비현막교 물비의막취,
사람은 어질지 않으면 사귀지 말고, 물건(物件)은 의(義)롭지 않으면 취(取)하지 마라.
(어질지 않은 사람은 사귀지 말고, 정당(正當)하지 않은 물건(物件)은 받지 마라.)
忿非善莫擧 事非是莫說.
분비선막거 사비시막설.
분노(憤怒)는 선(善)하지 않으면 일으키지 말고, 일은 옳지 않으면 말하지 마라.
(선(善)한 일을 위(爲)해서가 아니라면 분노(憤怒)를 일으키지 말고, 옳지 않은 일은 말하지 마라.)
謹則無憂 忍則無辱,
근즉무우 인즉무욕,
신중(愼重)하면 근심하지 않고, 참으면 모욕(侮辱)을 당(當)하지 않는다.
(말과 행동(行動)을 조심(操心)하면 근심할 일이 없고, 충동(衝動)을 억누르고 감정(感情)을 다스리면 모욕(侮辱)을 당(當)할 일이 없다.)
靜則常安 儉則常足.
정즉상안 검즉상족.
조용하면 항상(恒常) 편안(便安)하고, 낭비(浪費)하지 않으면 항상 넉넉하다.
(성품(性品)과 태도(態度)가 침착(沈着)하고 단정(端正)하면 항상(恒常) 편안(便安)하고, 낭비(浪費)하지 않으면 항상 넉넉하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