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7)
《素書》云:「行足以為儀表,智足以決嫌疑,信可以守約,廉可以分財。」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행실은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되기에 충분하고,
지혜는 의심스럽고 미심쩍은 것을 분별하기에 충분하며,
성실하여 약속을 어기는 일이 없고,
검소하여 자손에게 물려 줄 재산이 충분하다면,
이 사람이 바로 호걸이다.”
소서(素書)는 황석공(黃石公)이 중국 한(漢)나라의 장량(張良)에게 주었다는 병법서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CC7375C98794914)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7)
素書云.
소서운.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素(소): 희다.
書(서): 책(冊).
素書(소서): 황석공(黃石公)이 중국(中國) 한(漢)나라의 장량(張良)에게 주었다는 병법서(兵法書).
*黃石公(황석공): 중국(中國) 진(秦)나라 말기(末期)에 세상(世上)을 피(避)해 숨어 살던 선비이자 병법가(兵法家). 장량(張良)에게 병법서(兵法書)를 준 인물(人物).
*張良(장량): 중국(中國) 한(漢)나라의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자(字)는 자방(子房). 황석공(黃石公)에게 받은 병법서(兵法書)를 활용(活用)하여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를 물리치고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는데 큰 공(功)을 세운 인물(人物).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行足以爲儀表智足以決嫌疑,
행족이위의표 지족이결혐의,
“행실(行實)은 본(本)보기가 되기에 충분(充分)하고, 지혜(智慧)는 의심(疑心)스럽고 미심(未審)쩍은 것을 분별(分別)하기에 충분하며,
(행실(行實)은 다른 사람의 본(本)보기가 되기에 충분(充分)하고, 지혜(智慧)는 의심(疑心)스럽고 미심(未審)쩍은 것을 분별(分別)하기에 충분하며,)
行(행): 행실(行實). 행위(行爲). 행동(行動). 거동(擧動). 행동거지(行動擧止). 몸가짐.
足(족): ~할 만한 가치(價値)가 있다. 족(足)히 ~할 만하다. ~에 충분(充分)하다.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足以(족이): 충분(充分)히 ~할 수 있다. ~하기에 족(足)하다. ~하기에 충분(充分)하다.
爲(위): ~으로 되다. ~이 되다. ~으로 바뀌다. ~으로 변(變)하다. ~으로 변화(變化)하다.
儀(의): 본(本)보기.
表(표): 본(本)보기. 규범(規範). 모범(模範). 표준(標準).
儀表(의표): 본(本)보기. 규범(規範). 모범(模範). 표준(標準).
智(지): 슬기. 지혜(智慧). 견식(見識).
決(결): 결정(決定)하다. 결단(決斷)하다. 분별(分別)하다. 정(定)하다. 판단(判斷)하다. 해결(解決)하다.
嫌(혐): 의심(疑心)스럽다.
疑(의): 헛갈리다.
嫌疑(혐의): 의심(疑心). 의심(疑心)쩍음. 의심(疑心)스럽고 미심(未審)쩍음.
信可以守約 廉可以分財,
신가이수약 염가이분재,
성실(誠實)하여 약속(約束)을 지킬 수 있고, 검소(儉素)하여 재산(財産)을 나누어 줄 수 있다면,
(성실(誠實)하여 약속(約束)을 어기는 일이 없고, 검소(儉素)하여 자손(子孫)에게 물려 줄 재산(財産)이 충분하다면,)
信(신): 성실(誠實)하다. 진실(眞實)하다. 확실(確實)하다. 참되다.
可(가): ~해도 좋다. ~할 수 있다.
以(이): ~로. ~로써. ~으로. ~으로써. ~을 가지고. ~을 근거(根據)로.
可以(가이): ~할 수 있다. 가능(可能)하다. [가능(可能)이나 능력(能力)을 나타냄.]
守(수): 지키다. 따르다. 준수(遵守)하다.
約(약): 약속(約束). 조약(條約).
守約(수약): 약속(約束)을 지킴. 약정(約定)을 준수(遵守)함.
廉(염): 검소(儉素)하다. 검박(儉朴)하다.
分(분): 나누다.
財(재): 재산(財産). 자산(資産).
分財(분재): 재산(財産)을 나눔. 재산(財産)을 가족(家族)이나 자손(子孫)에게 나누어 줌.
此人之豪也.
차인지호야.
이 사람이 호걸(豪傑)이다.”
(이 사람이 바로 호걸(豪傑)이다.)
此(차): 이. 이것.
人(인): 사람. 인간(人間).
之(지): ~가. ~이. ~의. [주어(主語)와 술어(述語) 사이에 쓰여 수식(修飾) 관계(關係)를 나타냄.]
豪(호): 영웅(英雄). 호걸(豪傑). 뛰어난 재능(才能)을 갖춘 사람.
*豪傑(호걸): 넓은 마음과 높은 기상(氣像)을 가진 사람. 슬기, 재주, 용기(勇氣)가 뛰어나고 도량(度量)이 넓으며 기개(氣槪)가 있는 사람. 지혜(智慧)와 용기(勇氣)가 뛰어나고 기개(氣槪)와 풍모(風貌)가 있는 사람.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參考(참고):
명심보감(明心寶鑑)에는 염가이분재(廉可以分財)까지 기록(記錄)되어 있습니다. 해석(解釋)이 자연(自然)스럽지 아니하여 원문(原文)의 글 ‘차인지호야(此人之豪也)’를 추가(追加)하였습니다.
※出典(출전):
- 소서(素書) 정도장(正道章)
※原文(원문):
德足以懷遠,信足以一異,義足以得眾,才足以鑒古,明足以照下,此人之俊也。行足以為儀表,智足以決嫌疑,信可以使守約,廉可以使分財,此人之豪也。守職而不廢,處義而不回,見嫌而不苟免,見利而不苟得,此人之傑也。
※原文(원문) / 解釋(해석):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