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3)
《景行錄》云:「自滿者敗,自矜者愚,自賊者忍。」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작은 성과에 스스로 만족하는 사람은 일을 그르치고,
이룬 것을 스스로 잘난 체 하며 뽐내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며,
자기를 스스로 학대하는 사람은 잔인한 사람이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93)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自滿者敗,
자만자패,
“스스로 만족(滿足)하는 사람은 실패(失敗)하고,
(작은 성과(成果)에 스스로 만족(滿足)하는 사람은 일을 그르치고,)
自(자): 몸소. 손수. 스스로. 자발적(自發的)으로. 직접(直接). 친(親)히. [동작(動作)이 자발적(自發的)으로 자신(自身)에게서 나왔음을 나타냄.]
滿(만): 만족(滿足)하다. 흡족(洽足)하다. 흐뭇하다.
自滿(자만): 스스로 만족(滿足)함. 스스로 흡족(洽足)하게 여김.
者(자): 것. 사람. 자(者). 동사(動詞)/동사구(動詞句)/형용사(形容詞)/형용사구(形容詞句)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動作)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事物)을 나타냄.
敗(패): 이루지 못하다. 일이 실패(失敗)하다.
*失敗(실패):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침.
自矜者愚,
자긍자우,
스스로 자랑하는 사람은 어리석으며,
(이룬 것을 스스로 잘난 체 하며 뽐내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며,)
矜(긍): 자랑하다. 뽐내다. 자만(自滿)하다. 자부(自負)하다. 스스로 잘난 체하며 교만(驕慢)하다.
自矜(자긍): 스스로 자랑을 함. 뽐냄. 스스로 과시(誇示)함. 스스로 긍지(矜持)를 느낌. 스스로에게 긍지(矜持)를 가짐. 자기(自己) 자랑을 함. 자만(自滿)함. 자부심(自負心)을 느낌. ②제 스스로 하는 자랑. 스스로에게 가진 긍지(矜持).
愚(우): 멍청하다. 미련하다. 바보 같다. 아둔하다. 어리석다. 무지몽매(無知蒙昧)하다. 우둔(愚鈍)하다.
自賊者忍.
자적자인.
스스로 해(害)치는 사람은 잔인(殘忍)하다.”
(자기(自己)를 스스로 학대(虐待)하는 사람은 잔인(殘忍)한 사람이다.)
賊(적): 다치게 하다. 해(害)치다. 상(傷)하게 하다. 손상(損傷)시키다. 상처(傷處)를 주다. 손해(損害)를 입히다. 다치게 하다.
忍(인): 모질다. 동정심(同情心)이 없다. 무자비(無慈悲)하다. 잔인(殘忍)하다. 잔혹(殘酷)하다. 지독(至毒)하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