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33) 禍福無門(화복무문) 惟人自招(유인자초): 재앙과 복은 들어오는 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람이 스스로 그러한 결과를 불러들이는 것이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33)

 

 

《太上感應篇》曰:「禍福無門,惟人自招。善惡之報,如影隨形。所以人心起於善,善雖未,而吉神已隨之。或心起於惡,惡雖未至,而凶神已隨之。其有曾行惡事,後自改悔,久久必獲吉慶,所謂轉禍福也。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재앙과 복은 들어오는 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람이 스스로 그러한 결과를 불러들이는 것이다.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에 대한 응보는,

 

그림자가 형상의 뒤를 따르는 것과 같다.

 

그래서 사람의 마음속에 선한 마음이 생기면,

 

선을 아직 행하지는 못하였더라도 상서로운 신령이 이미 그 사람의 뒤를 그림자처럼 따르고 있다.

 

혹시 마음속에 악한 마음이 생기면,

 

악을 많이 행하지 아니하였더라도 흉악한 귀신이 이미 그 사람의 뒤를 그림자처럼 따르고 있다.

 

만일 이전에 나쁜 짓을 하였더라도 뒤에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고친다면,

 

오랫동안 축하할 만한 기쁘고 즐거운 일이 반드시 생기므로,

 

이것을 이른바 전화위복,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라고 하는 것이다.”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은 중국 송()나라의 이창령(李昌齡)이 정리하여 세상에 소개한 권선서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33)

 

太上感應篇曰.

태상감응편왈.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禍福無門 惟人自招.

화복무문 유인자초.

재앙(災殃)과 복()은 문()이 없고,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른다.

(재앙(災殃)과 복()은 들어오는 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람이 스스로 그러한 결과(結果)를 불러들이는 것이다.)

 

善惡之報 如影隨形.

선악지보 여영수형.

()과 악()의 응보(應報), 그림자가 형상(形狀)의 뒤를 따르는 것과 같다.

(()한 행동(行動)과 악()한 행동에 대()한 응보(應報), 그림자가 형상(形狀)의 뒤를 따르는 것과 같다.)

 

所以人心起於善 善雖未爲 而吉神已隨之.

소이인심기어선 선수미위 이길신이수지.

그래서 사람의 마음이 선으로부터 일어나면, 선은 비록 아직 행()하지 못하였더라도, 상서(祥瑞)로운 신령(神靈)이 이미 그를 따른다.

(그래서 사람의 마음속에 선한 마음이 생기면, 선을 아직 행()하지는 못하였더라도, 상서(祥瑞)로운 신령(神靈)이 이미 그 사람의 뒤를 그림자처럼 따르고 있다.)

 

或心起於惡 惡雖未至 而凶神已隨之.

혹심기어악 악수미지 이흉신이수지.

혹시(或是) 마음이 악으로부터 일어나면, 악이 비록 아직 정도(程度)를 넘지 못하였더라도, 흉악(凶惡)한 귀신(鬼神)이 이미 그를 따른다.

(혹시(或是) 마음속에 악한 마음이 생기면, 악을 많이 행하지 아니하였더라도, 흉악(凶惡)한 귀신(鬼神)이 이미 그 사람의 뒤를 그림자처럼 따르고 있다.)

 

其有曾行惡事 後自改悔 久久必獲吉慶,

기유증행악사 후자개회 구구필획길경,

만일(萬一) 이전(以前)에 행한 나쁜 짓이 있더라도, 뒤에 스스로 고치고 뉘우치면, 오랫동안 틀림없이 축하(祝賀)할 만한 기쁘고 즐거운 일을 얻으니,

(만일(萬一) 이전(以前)에 나쁜 짓을 하였더라도, 뒤에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고친다면, 오랫동안 축하(祝賀)할 만한 기쁘고 즐거운 일이 반드시 생기므로,)

 

所謂轉禍爲福也.

소위전화위복야.

이른바 전화위복(轉禍爲福)이다.”

(이것을 이른바 전화위복(轉禍爲福), () ‘재앙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라고 하는 것이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