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0)
耳不聞人之非,目不視人之短,口不言人之過,庶幾君子。
다른 사람에 대한 험담을 듣고 함부로 판단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의 단점을 함부로 들추어내지 아니하며,
다른 사람의 잘못을 함부로 말하지 아니한다면,
군자라고 할 수 있다.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B1A375C987B850F)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0)
耳不聞人之非,
이불문인지비,
귀는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듣지 아니하고,
(귀로는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듣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에 대(對)한 험담(險談)을 듣고 함부로 판단(判斷)하지 아니하고,)
耳(이): 귀. 감각기관(感覺器官)의 하나. 오관(五官)의 하나.
不(불): 아니하다.
聞(문): 듣다.
人(인): 남. 다른 사람. 타인(他人).
之(지): ~의. ~는. ~은. ~하는. ~한. [관형어(冠形語)와 중심어(中心語) 사이에 쓰여 일반적(一般的)인 수식(修飾) 관계(關係)나 종속(從屬) 관계를 나타냄.]
非(비): 그름. 나쁜 일. 잘못. 허물. 과실(過失). 사악(邪惡). 실수(失手). 악행(惡行). 착오(錯誤).
目不視人之短,
목불시인지단,
눈은 다른 사람의 단점(短點)을 보지 아니하며,
(눈으로는 다른 사람의 단점(短點)을 보지 아니하며,)
(다른 사람의 단점(短點)을 함부로 들추어내지 아니하며,)
目(목): 눈. 감각기관(感覺器官)의 하나. 오관(五官)의 하나.
視(시): 보다.
*들추어내다: 잘못이나 결함(缺陷) 따위를 따져서 드러나게 하다.
短(단): 단점(短點). 결점(缺點).
短點(단점): 낮고 모자라는 점(點). 잘못되고 모자라는 점(點).
口不言人之過,
구불언인지과,
입은 다른 사람의 잘못을 말하지 않으면,
(입으로는 다른 사람의 잘못을 말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의 잘못을 함부로 말하지 아니한다면,)
口(구): 입.
言(언): 말하다. 밝히다. 이야기하다.
過(과): 잘못. 허물. 과실(過失). 과오(過誤).
庶幾君子.
서기군자.
대체(大體)로 군자(君子)이다.
(군자(君子)라고 할 수 있다.)
庶(서): 거의. 대체(大體)로. 어떻게든. 어쩌면. 오직 ~만이. (가능(可能)이나 기대(期待)를 표시(表示))
幾(기): 거의. 가까스로. 하마터면. 대략(大略).
庶幾(서기): 바라다. ~을 바라다. ~하기를 바라다. 어쩌면 ~일 것이다. 거의 ~이다. 대체(大體)로 ~이다. 대체(大體)로 ~할 것이다. ~되면 좋겠다. (추측(推測)이나 희망(希望)을 표시(表示)).
君(군): 어진 사람. 어진 이. 군자(君子). 현자(賢者).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君子(군자): 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小人(소인): 간사(奸邪)하고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 ↔ 君子(군자).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