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順命篇(순명편) (9) 見嫌而不苟免(견혐이불구면) 見利而不苟得(견리이불구득): 나쁜 일을 당하더라도 당당하게 대처하고, 이익이 되는 일을 보더라도 구차하게 욕심부리지..


明心寶鑑(명심보감) 順命篇(순명편) (9)

 

 

《素書》云:「見嫌而不苟免,見利而不苟得。」重刊本中此處還有一句:福至不可苟求,禍至不可苟免。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나쁜 일을 당하더라도 당당하게 대처하고,

 

이익이 되는 일을 보더라도 구차하게 욕심부리지 마라.”

 

중간본 속에는 이 부분에 또 한 구절이 있다.

 

복을 받으려고 구차하게 욕심부리지 말고,

 

재앙을 구차하게 모면하려 하지 마라.”

 

 

 

소서(素書)는 황석공(黃石公)이 중국 한()나라의 장량(張良)에게 주었다는 병법서입니다.

황석공(黃石公)은 중국 진()나라 말기에 세상을 피해 숨어 살던 선비이자 병법가로, 장량에게 병법서를 준 인물입니다.

장량(張良)은 중국 한나라의 개국공신으로, 자는 자방(子房)이라고 합니다. 황석공에게 받은 병법서를 활용하여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順命篇(순명편) (9)

 

素書云.

소서운.

소서(素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見嫌而不苟免 見利而不苟得.

견혐이불구면 견리이불구득.

나쁜 일을 당()하더라도 구차(苟且)하게 모면(謀免)하지 말고, 이익(利益)을 보더라도 구차하게 손에 넣지 마라.”

(나쁜 일을 당()하더라도 구차(苟且)하게 모면(謀免)하려 하지 말고, 이익(利益)이 되는 일을 보더라도 구차하게 손에 넣으려 하지 마라.)

(나쁜 일을 당()하더라도 당당(堂堂)하게 대처(對處)하고, 이익(利益)이 되는 일을 보더라도 구차(苟且)하게 욕심(欲心)부리지 마라.)

 

重刊本中此處還有一句.

중간본중차처환유일구.

중간본(重刊本) 속에는 이 부분(部分)에 또 한 구절(句節)이 있다.

 

福至不可苟求 禍至不可苟免.

복지불가구구 화지불가구면.

()이 이르는 것을 구차하게 탐()하지 말고, 재앙(災殃)이 이르는 것을 구차하게 모면하지 마라.”

(()을 받으려고 구차하게 욕심부리지 말고, 재앙(災殃)을 구차하게 모면하려 하지 마라.)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