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勸學篇(권학편) (7)
《禮記》曰:「玉不琢不成器,人不學不知道。」
예기(禮記)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아무리 아름답고 귀한 옥이라도 가공하여 그릇으로 만들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고,
아무리 천성이 바른 사람이라도 배우지 않으면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알지 못하여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예기(禮記)는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오경의 하나로, 예의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풀이해 적은 책입니다.
★★★★★★★★★★★★★★★★★★★★
☆☆☆☆☆☆☆☆☆☆☆☆☆☆☆☆☆☆☆☆
明心寶鑑(명심보감) 勸學篇(권학편) (7)
禮記曰.
예기왈.
예기(禮記)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玉不琢不成器,
옥불탁불성기,
“옥(玉)은 다듬지 않으면 그릇이 되지 못하고,
(아무리 아름답고 귀(貴)한 옥(玉)이라도 가공(加功)하여 그릇으로 만들지 않으면 사용(使用)할 수 없고,)
人不學不知道.
인불학부지도.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道)를 알지 못한다.”
1) (아무리 천성(天性)이 바른 사람이라도 배우지 않으면 사람으로서의 도리(道理)를 알지 못하여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
2) (아무리 뛰어난 재능(才能)을 지닌 사람이라도 그 재능을 갈고닦지 않으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없다.)
★★★★★★★★★★★★★★★★★★★★
☆☆☆☆☆☆☆☆☆☆☆☆☆☆☆☆☆☆☆☆
※出典(출전):
- 예기(禮記) 학기편(學記篇)
※原文(원문):
玉不琢,不成器;人不學,不知道。是故古之王者建國君民,教學為先。《兌命》曰:「念終始典于學。」其此之謂乎!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