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落魄(낙백) – 뜻을 얻지 못하여 처지가 곤궁해지다.


落魄.

낙백.

넋을 잃다. 넋이 달아나다.

1) 뜻을 얻지 못하여 처지(處地)가 곤궁(困窮)해지다.

2) 실의(失意)에 빠지다.

3) 세력(勢力)이나 살림살이가 줄어들어 보잘것없이 초라해지다.

 


 

역생() 이기(食其)는 진류현 고양 사람이다.

 

책 읽기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에 빠져 있었으며, 옷과 음식을 구할 직업이 없어서 마을의 문지기로 벼슬살이를 하였다.

 

그러나 고을 안의 유능하고 부와 권세를 가진 사람들은 구태여 일을 시키려 하지 않았고 고을 안의 모든 사람들이 그를 미치광이라고 불렀다.

 

진승과 항량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여러 장수들이 영토를 빼앗으며 고양을 지나간 사람이 수십 명이었는데역생은 그 장수들이 모두 도량이 좁고 까다로운 예절을 좋아하며 독선적이어서 도량이 큰 의견은 들어줄 수 없다는 소리를 들었고, 역생은 이에 자기의 재능을 일부러 드러내지 않았다.

 

中略(중략)

 

패공 유방이 고양의 전사에 오더니 사람을 시켜 역생을 불렀다.

 

역생이 도착하여 전사에 들어가니 패공 유방은 그곳에서 평상에 걸터앉아 두 명의 여자를 시켜 발을 닦으며 역생을 만났다.

 

역생은 들어가서 절을 하지 않고 허리를 굽혀 인사를 하며 말하였다.

 

“당신께서는 진나라를 도와 제후들을 공격하려고 하십니까? 아니면 장차 제후들을 거느리고 진나라를 부수려고 하십니까?”

 

패공이 욕을 하며 말하였다.

 

“천한 난쟁이야. 온 세상이 모두 진나라에 오랫동안 고생을 하였다까닭에 제후들이 연이어 진나라를 치는데, 어찌 진나라를 도와 제후를 친다는 말을 하느냐?”

 

역생이 말하였다.

 

“의병을 모아 무리를 갖추고 도리를 어기어 막된 진나라를 치려면 거만하게 앉아서 나이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은 적당하지 않소.”

 

이에 패공 유방은 씻기를 멈추더니 일어나 옷을 갖춰 입고 역생을 윗자리로 이끌며 그에게 사과하였다.

 


 

 

 

역생()은 역이기(食其)라고도 합니다. 중국(中國) ()나라 말기(末期) 사람으로,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는데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낙백(落魄)이라는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유래(由來)가 된 부분(部分)은 사기(史記) 역생육가열전(生陸賈列傳)의 첫 구절(句節), 다음과 같습니다.

 

生食其者 陳留高陽人也. 好讀書 家貧落魄.

역생이기자 진류고양인야. 호독서 가빈낙백.

() 읽기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져 있었으며, 옷과 음식(飮食)을 구할 직업(職業)이 없어서 마을의 문지기로 벼슬살이를 하였다.

 

낙백은 가빈낙백(家貧落魄), 바로 이 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입니다.

 

한고조 유방을 만나기 전의 역생은 위와 같이 집이 가난하여 뜻을 펼치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져 있었습니다. 먹고 살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마을의 문지기로 벼슬살이도 해보았으나 그가 품은 큰 뜻을 알아주는 사람은 없었고, 모두들 그를 미친 사람 취급(取扱)하였습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狀況) 속에서도 때를 기다리던 역생은 한고조 유방을 만나게 되었고, 이후(以後) 그와 함께 많은 일을 하였습니다. 후일(後日) ()나라의 왕() 전횡(田橫)을 한()나라로 끌어들이려는 설득(說得)을 하다가 죽임을 당할 때까지, 역생은 여러 나라의 제후(諸侯)들을 유방의 편(便)으로 끌어들이며 많은 공()을 세웠습니다. (제나라의 왕을 설득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역생의 공을 시기(猜忌)한 한신(韓信)이 제나라를 공격(攻擊)하였고, 이에 화()가 난 제나라 왕에게 팽형(烹刑)을 당()해 죽고 말았습니다.)

 

사기 역생육가열전에는 역생에 관()한 많은 글이 실려 있는데, 그 중 일부(一部)를 정리(整理)해 보았습니다. 역생의 어려웠던 시절(時節)과 유방을 처음 만났을 때 거만(倨慢)한 태도(態度)의 유방에게 당당(堂堂)하게 하고 싶은 말을 하던 역생의 모습이 기록(記錄)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출전(出典):

- 사기(史記)의 역생육가열전(生陸賈列傳)

 

※원문(原文):

生食其者,陳留高陽人也。好讀書,家貧落魄,無以衣食業,里監門吏。然縣中賢豪不敢役,縣中皆謂之狂生

及陳勝、項梁等起,諸將徇地過高陽者數十人,生聞其將皆握好苛禮自用,不能聽大度之言,生乃深自藏匿。

(中略)

沛公至高陽傳舍,使人召生。生至,入謁,沛公方倨床使兩女子洗足,而見生。生入,則長揖不拜,曰:「足下欲助秦攻諸侯乎?且欲率諸侯破秦也?」沛公罵曰:「儒!夫天下同苦秦久矣,故諸侯相率而攻秦,何謂助秦攻諸侯乎?」生曰:「必聚徒合義兵誅無道秦,不宜倨見長者。」於是沛公輟洗,起攝衣,延生上坐,謝之

 

※원문(原文) / 해석(解釋):

 

生食其者 陳留高陽人也.

역생이기자 진류고양인야.

역생() 이기(食其)는 진류현(陳留縣) 고양(高陽) 사람이다.

 

好讀書 家貧落魄 無以爲衣食業 爲里監門吏.

호독서 가빈낙백 무이위의식업 위리감문리.

() 읽기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져 있었으며, 옷과 음식(飮食)을 구할 직업(職業)이 없어서 마을의 문지기로 벼슬살이를 하였다.

 

然縣中賢豪不敢役 縣中皆謂之狂生.

연현중현호불감역 현중개위지광생.

그러나 고을 안의 유능(有能)하고 부()와 권세(權勢)를 가진 사람들은 구태여 일을 시키려 하지 않았고, 고을 안의 모든 사람들이 그를 미치광이라고 불렀다.

 

及陳勝項梁等起 諸將徇地過高陽者數十人,

급진승항량등기 제장순지과고양자수십인,

진승(陳勝)과 항량(項梁) ()이 반란(反亂)을 일으키자, 여러 장수(將帥)들이 영토(領土)를 빼앗으며 고양을 지나간 사람이 수십(數十) ()이었는데,

 

生聞其將皆握好苛禮自用,

역생문기장개옥착호가례자용,

역생은 그 장수들이 모두 도량(度量)이 좁고 까다로운 예절(禮節)을 좋아하며 독선적(獨善的)이어서,

 

不能聽大度之言 生乃深自藏匿.

불능청대도지언 역생내심자장닉.

도량이 큰 의견(意見)은 들어줄 수 없다는 소리를 들었고, 역생은 이에 깊이 자기(自己)를 감추었다.

(도량이 큰 의견(意見)은 들어줄 수 없다는 소리를 들었고, 역생은 이에 자기(自己)의 재능(才能)을 일부러 드러내지 않았다.)

 

中略(중략)

 

沛公至高陽傳舍 使人召.

패공지고양전사 사인소역생.

패공(沛公) 유방(劉邦)이 고양의 전사(傳舍)에 오더니, 사람을 시켜 역생을 불렀다.

 

生至 入謁,

역생지 입알,

역생이 도착하여 전사에 들어가니,

 

沛公方倨床使兩女子洗足 而見.

패공방거상사량여자세족 이현역생.

패공 유방은 그곳에서 평상에 걸터앉아 두 명의 여자(女子)를 시켜 발을 닦으며 역생을 만났다.

 

生入 則長揖不拜 曰.

역생입 즉장읍부배 왈.

역생은 들어가서, 절을 하지 않고 허리를 굽혀 인사(人事)를 하며 말하였다.

 

足下欲助秦攻諸侯乎. 且欲率諸侯破秦也.

족하욕조진공제후호. 차욕솔제후파진야.

“당신께서는 진()나라를 도와 제후(諸侯)들을 공격(攻擊)하려고 하십니까? (아니면) 장차(將次) 제후들을 거느리고 진나라를 부수려고 하십니까?”

 

沛公罵曰.

패공매왈.

패공이 욕을 하며 말하였다.

 

. 夫天下同苦秦久矣,

수유. 부천하동고진구의,

“천한 난쟁이야. 온 세상(世上)이 모두 진나라에 오랫동안 고생(苦生)을 하였다.

 

故諸侯相率而攻秦 何謂助秦攻諸侯乎.

고제후상솔이공진 하위조진공제후호.

까닭에 제후들이 연()이어 진나라를 치는데, 어찌 진나라를 도와 제후를 친다는 말을 하느냐?”

 

生曰.

역생왈.

역생이 말하였다.

 

必聚徒合義兵誅無道秦 不宜倨見長者.

필취도합의병주무도진 불의거현장자.

“의병(義兵)을 모아 무리를 갖추고 도리(道理)를 어기어 막된 진나라를 치려면, 거만(倨慢)하게 나이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은 적당(適當)하지 않소.”

 

於是沛公輟洗 起攝衣 延生上坐 謝之.

어시패공철세 기섭의 연역생상좌 사지.

이에 패공 유방은 씻기를 멈추더니, 일어나 옷을 갖춰 입고, 역생을 윗자리로 이끌며 그에게 사과(謝過)하였다.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