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3)
李端伯師說:「人於外物奉身者,事事要好。只有自家一個身與心,卻不要好。苟得外物好時節,卻不知道自家身與心,已自先不好了也。」
李端伯(李端伯)의 사설.
“사람들은 옷/음식/집과 같은 외물로 자신을 보전하는 일에는 모든 일이 잘 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기에게 중요한 것은 오직 자기의 한 몸과 마음임을 모르고,
도리어 자기의 한 몸과 마음을 수양하는 것에는 소홀하다.
사람들은 외물이 풍족해지면 도리어 자기의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니,
외물이란 원래 좋지 않은 것임이 명백하다.”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73CB3D5C46B99A0A)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3)
李端伯師說.
이단백사설.
李端伯(李端伯)의 사설(師說).
李(이): 성(姓)의 하나.
端(단): 바르다.
伯(백): 맏. 첫.
李端伯(이단백): -
師(사): 스승. 선생(先生).
說(설): ❶학설(學說). 이론(理論). 주장(主張). ❷말. 말씀. 이야기.
師說(사설): 스승의 의견(意見)이나 학설(學說).
人於外物奉身者 事事要好.
인어외물봉신자 사사요호.
“사람은 외물(外物)로 자신(自身)을 보전(保全)하는 것은, 모든 일이 좋기를 바란다.
(사람들은 옷/음식(飮食)/집과 같은 외물(外物)로 자신(自身)을 보전(保全)하는 일에는, 모든 일이 잘 되기를 바란다.)
人(인): 사람. 인간(人間).
於(어): ~로. ~으로. ~에. ~하기에. [목적(目的)/분야(分野)/원인(原因)을 이끌어냄.]
外(외): 바깥. 밖.
物(물): 물건(物件). 물질(物質). 물체(物體). 물품(物品). 사물(事物). 재물(財物).
外物(외물): 외계(外界)의 사물(事物). 바깥 세계(世界)의 사물(事物). 여기에서는 ‘입고 먹고 자는 것’, ‘옷과 음식과 집’, ‘의식주(衣食住)’를 뜻하는 말로 해석(解釋)함.
奉(봉): 보전(保全)하다.
*保全(보전): 온전(穩全)하게 보호(保護)하여 유지(維持)함.
身(신): 나. 스스로.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者(자): 것. 사람. 자(者). 동사(動詞)/동사구(動詞句)/형용사(形容詞)/형용사구(形容詞句)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動作)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事物)을 나타냄.
事(사): 일.
事事(사사): 모든 일. 이 일 저 일. 만사(萬事). 사사건건(事事件件).
要(요): 바라다. 원(願)하다. 필요(必要)하다. 희망(希望)하다.
好(호): 좋다. 훌륭하다. 선량(善良)하다. 능숙(能熟)하다.
只有自家一個身與心 卻不要好.
지유자가일개신여심 각불요호.
오직 자기의 한 몸과 마음밖에 없지만, 도리어 좋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기에게 중요(重要)한 것은 오직 자기의 한 몸과 마음임을 모르고, 도리어 자기의 한 몸과 마음을 수양(修養)하는 것에는 소홀(疏忽)하다.)
只(지): 겨우. 다만. 오로지. 오직. 한갓. 한낱. 뿐. 단지(但只). (범위(範圍)를 한정(限定)하여 이밖에 다른 것은 없음을 표시(表示).
有(유): 있다.
只有(지유): 오직 ~만 있다. ~만 있다. ~밖에 없다.
自(자):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家(가): 자기(自己)와 어떤 관련이 있는 사람.
自家(자가): 자기(自己).
一(일): 하나. 1.
個(개): 놈. 사람. 개(個). 명(名).
一個(일개): 하나. 한 개(個).
身(신): 몸. 몸뚱이. 신체(身體).
與(여): ~와. ~과. (접속사(接續詞))
心(심): 마음. 생각. 뜻. 감정(感情). 기분(氣分). 사상(思想). 의지(意志).
卻(각): 도리어. 오히려. 뜻밖에. 반대(反對)로. 의외(意外)로. ~지만. ~하지만. [역접(逆接)을 나타냄.]
不(불): 아니하다.
不要(불요): 싫다. 바라지 않다. 필요(必要)가 없다. 필요(必要)치 않다. 필요(必要)하지 아니하다.
苟得外物好時節 卻不知道自家身與心,
구득외물호시절 각부지도자가신여심,
만약(萬若) 외물이 좋은 때를 만나면, 도리어 자기의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 함을 깨닫지 못하니,
(사람들은 외물이 풍족(豊足)해지면, 도리어 자기의 몸과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니,)
苟(구): 만약(萬若). 만일(萬一).
得(득): 만나다.
時(시): 때. 시절(時節).
*時期(시기): 어떤 일이나 현상(現象)이 진행(進行)되는 시점(時點). 예) 오곡백과(오곡백과)가 무르익는 시기(時期).
*時機(시기): 적당(適當)한 때나 기회(機會). 예)시기(時機)가 나쁘다.
節(절): 철. 절기(節氣).
好時節(호시절): 좋은 때. 좋은 철.
不(부): 못하다.
知(지): 알다. 깨닫다. 이해(理解)하다.
道(도): 다스리다.
已自先不好了也.
이자선불호료야.
이미 처음부터 좋지 않음이 명백(明白)하다.”
(외물이란 원래(元來) 좋지 않은 것임이 명백(明白)하다.)
已(이): 이미. 벌써.
自(자): ~부터. ~서부터. ~로부터. ~에서.
先(선): 먼저. 미리. 앞서. 처음. 우선(于先). 원래(元來).
了(료): 명백(明白)하다.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出典(출전):
- 소학외편(小學外篇) 가언제오(嘉言第五) 67
※原文(원문):
人於外物奉身者,事事要好。只有自家一箇身與心,郤不要好。 苟得外物好時,卻不知道自家身與心, 卻已自先不好了也。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