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4) 攻其惡(공기악) 無攻人之惡(무공인지악): 자기의 잘못은 꾸짖고 바로잡되, 다른 사람의 잘못은 함부로 꾸짖거나 바로잡으려 하지 마라.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4)

 

 

《呂氏童蒙訓》曰:「攻其惡,無攻人之惡。蓋自攻其惡,日夜自己點檢,絲毫不盡則憮於心矣,豈有工夫點檢他人耶?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자기의 잘못은 꾸짖고 바로잡되,

 

다른 사람의 잘못은 함부로 꾸짖거나 바로잡으려 하지 마라.

 

무릇 스스로 자기의 잘못을 꾸짖고 바로잡는 일이란,

 

밤낮으로 자기에게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보더라도,

 

부족한 부분이 있어 오히려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있기 마련인데,

 

어찌 다른 사람을 살펴볼 틈이 있겠는가?”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34)

 

呂氏童蒙訓曰.

여씨동몽훈왈.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攻其惡 無攻人之惡.

공기악 무공인지악.

“자기(自己)의 잘못은 책망(責望)하고, 다른 사람의 잘못은 책망하지 마라.

(자기(自己)의 잘못은 꾸짖고 바로잡되, 다른 사람의 잘못은 함부로 꾸짖거나 바로잡으려 하지 마라.)

 

蓋自攻其惡,

개자공기악,

무릇 스스로 자기의 잘못을 책망함은,

(무릇 스스로 자기의 잘못을 꾸짖고 바로잡는 일이란,)

 

日夜自己點檢 絲毫不盡則憮於心矣,

일야자기점검 사호부진즉무어심의,

밤낮으로 스스로 점검(點檢)하여도, 조금은 완전(完全)하지 아니하여 오히려 마음에 실망(失望)하는 것인데,

(밤낮으로 자기에게 잘못이나 부족(不足)함이 없는지 돌이켜 보더라도, 부족(不足)한 부분(部分)이 있어 오히려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 있기 마련인데,)

 

豈有工夫點檢他人耶?

기유공부점검타인야?

어찌 틈이 있어 다른 사람을 살펴보겠는가?”

(어찌 다른 사람을 살펴볼 틈이 있겠는가?)

 

 

※出典(출전):

- 소학외편(小學外篇) 가언제오(嘉言第五) 73

- 여씨동몽훈(呂氏童蒙訓)

 

※原文(원문):

- 소학외편(小學外篇)

 

攻其惡無攻人之惡。 蓋自攻其惡日夜且自點檢,絲毫不盡,則慊於心矣。豈有工夫點檢他人耶。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