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破天荒(파천황) - 이제까지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내다.


破天荒.

파천황.

천황(天荒)을 깨다/깨뜨리다.

1) 이제까지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내다.

2)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荒(천황): 하늘과 땅이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混沌)한 상태(狀態).

*及第(급제): 옛날에 문관(文官)과 무관(武官)을 뽑을 때 보던 시험(試驗)인 과거(科擧)에 합격(合格).

 


 

(북몽쇄언(北夢) 중에서......)

 

()나라 시대의 형주(荊州)는 옷과 갓을 차려 입은 선비들이 모이는 곳으로, 형주에서 치르는 시험을 통과한 사람들을 선발하여 중앙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도전하게 하였으나, 대부분은 명성을 얻지 못하여 천황해(天荒解)라고 불렀다.

 

뒷날 사인(舍人)이 된 유세()라는 사람이 형주의 해()로서 과거에 합격하자, 사람들은 그를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렀다.

 


 

 

 

과거(科擧) 제도(制度)는 옛날 중국(中國)에서 유교(儒敎) 경전(經典)에 대()한 교양(敎養), 시문(詩文)에 대한 재능(才能), 정치적(政治的)인 식견(識見) ()을 주제(主題)로 시험(試驗) 문제(問題)를 출제(出題)하고 공개(公開) 경쟁(競爭)을 통()하여 유능(有能)한 인재(人材)를 뽑기 위한 제도(制度)였습니다. ()나라 시대(時代)에 시작된 과거 제도는 청()나라 말기 광서(光緖) 31()에 폐지(廢止)될 때까지 약 1,300년 동안 계속(繼續)되었습니다.

 

이 과거 제도는 문벌편중(門閥偏重)의 폐단(弊端)을 없애고 유능한 인재를 선발(選拔)하기 위()한 제도였으나, 다양(多樣)한 분야(分野)의 해박(該博)한 지식(知識)과 뛰어난 암기력(暗記力)이 요구(要求)되었으며, 지방(地方) 시험인 향시(鄕試)부터 중앙(中央) 시험인 회시(會試)까지 여러 관문(關門)을 통과(通過)해야 하는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나라마다 조금씩 특색(特色)이 있었으며 당()나라 시대(時代)에는 진사과(進士科)라 하여, ()와 부()를 짓는 능력(能力)이 뛰어난 사람을 선발하였었습니다.

 

전국(全國)의 지방마다 있는 국립학교(國立學校)에서 성적(成績)이 우수(優秀)한 사람과 향시에 합격(合格)하여 지방의 장관(長官)이 추천(推薦)하는 사람에게만 시험을 치를 자격(資格)이 주어졌으며, 이 중 향시에 합격한 사람을모든 일에 통달(通達)했다는 뜻으로()”라고 불렀습니다.

 

당나라 시대의 형주(荊州) 지방에는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 학문(學問)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마다 해()를 선발하여 중앙에서 시행(施行)하는 시험인 진사과(進士科)에 도전(挑戰)을 하게 하였으나 아무도 급제(及第)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래서 당시의 사람들은 지방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천지(天地)가 열리기 이전(以前)의 혼돈(混沌)한 시기(時期)의 해()’라는 뜻으로 천황해(天荒解)라고 불렀습니다.

 

그런데 뒷날 사인(舍人)의 지위(地位)에 오른 유세()라는 사람이 형주의 해()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진사과(進士科)에 합격하였습니다. 그래서 당시의 사람들은 그를 천황(天荒)을 깨뜨렸다라는 뜻의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렀습니다.

 

북몽쇄언(北夢)과 통속편(通俗編)에서 파천황과 관련 있는 글이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출전(出典):

- 북몽쇄언(北夢) 권사(卷四)

- 通俗編(통속편) 권일천문(卷一天文)

 

※원문(原文):

 

북몽쇄언(北夢) 권사(卷四)

 

唐荊州衣冠藪澤,每歲解送人多不成名,號曰天荒解。劉舍人以荊解及第,號「破天荒」。爾來余知古、關圖、常修皆荊州之居人也,率有高文,連登上科。關衙前將校之子也,及第歸,都押已下其張筵,乃指盤上醬甌戲老校曰:「要校卒者。」其人以醋樽進之曰:「此亦校卒者也。」席人大。關圖妻常修妹,才思婦也,有祭夫文行於世。

 

通俗編(통속편) 권일천문(卷一天文)

 

〔北夢言〕荊州歲解送人。多不成名。號曰天荒。劉人。以荊解及第。破天荒。蘇軾詩。滄海何曾斷地脈。朱崖從此破天荒。用劉事也。〔獨醉雜詩〕江西士人未有以狀元及第者。紹聖四年。何昌言對策第一。謝民師有師寄之云。萬里一時開驥足。百年今始破天荒。〔按〕周必大詩。絳帳幸得天荒破。日日當問道人。柳貫詩。會見天荒破。端令士氣鹿/(鹿+鹿)。皆用其事。

 

※원문(原文) / 해석(解釋):

 

북몽쇄언(北夢) 권사(卷四)

 

唐荊州衣冠藪澤,

당형주의관수택,

()나라의 형주(荊州)는 옷과 갓을 차려 입은 선비들이 모이는 곳으로,

(()나 시대(時代)라의 형주(荊州)는 옷과 갓을 차려 입은 선비들이 모이는 곳으로,)

 

每歲解送人多不成名 號曰天荒解.

매세해송거인다불성명 호왈천황해.

()해의 해()는 추천(推薦)한 사람을 보냈으나, 대부분(大部分)은 명성(名聲)을 얻지 못하여, 천황해(天荒解)라고 불렀다.

(형주에서 치르는 시험(試驗)을 통과(通過)한 사람들을 선발(選拔)하여 중앙(中央)에서 시행(施行)하는 시험에 도전(挑戰)하게 하였으나, 대부분(大部分)은 명성(名聲)을 얻지 못하여, 천황해(天荒解)라고 불렀다.)

 

舍人以荊解及第破天荒.

유세사인이형해급제 호위파천황.

유세()라는 사인(舍人)이 형주의 해()로서 과거(科擧)에 합격(合格)하자,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렀다.

(뒷날 사인(舍人)이 된 유세()라는 사람이 형주의 해()로서 과거(科擧)에 합격(合格)하자, 사람들은 그를 파천황(破天荒)이라고 불렀다.)

 

========================================

 

통속편(通俗編)에 실려 있는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슷한 글이라 해석(解釋)하지 않았습니다.)

 

通俗編(통속편) 권일천문(卷一天文)

 

荊州歲解送 多不成名 號曰天荒.

형주매세해송거인 다불성명 호왈천황.

 

以荊解及第 破天荒.

유세사인 이형해급제 위파천황.

 

※유의어(類義語):

- 미증유(未曾有)

- 전대미문(前代未聞)

- 전인미답(前人未踏)

- 최초(最初)

- 파벽(破僻)

- 희대미문(稀代未聞)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