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23)
老子曰:「柔勝剛,弱勝強。故舌柔能存,齒剛則折也。」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부드러운 것이 단단한 것을 이기며,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이런 까닭에 혀는 부드러워서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단단하지만 부러지는 것이다.
노자(老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도가사상의 시조입니다. 본명은 이이(李耳)이며 자는 담(聃), 호는 백양(伯陽)이라고 합니다. 노담(老聃)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불립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23)
老子曰.
노자왈.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老(노): 늙다. 나이가 들다. 나이 먹다.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老子(노자): [인명(人名)]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사상가(思想家)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시조(始祖). 본명(本名)은 이이(李耳)이며 자(字)는 담(聃), 호(號)는 백양(伯陽). 노담(老聃)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불림.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柔勝剛 弱勝强.
유승강 약승강.
“부드러운 것이 단단한 것을 이기며, 약(弱)한 것이 강(强)한 것을 이긴다.
柔(유): 무르다. 부드럽다. 여리다. 연약(軟弱)하다.
勝(승): 이기다. 승리(勝利)하다.
剛(강): 굳세다. 단단하다. 억세다. 딱딱하다. 강(剛)하다.
弱(약): 약(弱)하다. 체질(體質)이 약(弱)하다. 허약(虛弱)하다.
强(강): 힘이 세다. 강(强)하다. 건장(健壯)하다.
故舌柔能存 齒剛則折也.
고설유능존 치강즉절야.
까닭에 혀는 부드러워서 보존(保存)할 수 있고, 이는 단단하지만 부러진다.”
(이런 까닭에 혀는 부드러워서 원상태(原狀態)를 유지(維持)할 수 있고, 이는 단단하지만 부러지는 것이다.)
故(고): 그러므로. 그래서. 그리하여. 까닭에. ~때문에. ~하기 때문에. ~한 까닭으로. 고(故)로.
舌(설): 혀.
能(능): ~할 수 있다. ~할 힘이 있다. ~할 줄 안다. (능력(能力)을 표시(表示))
存(존): 보전(保全)하다. 보존(保存)하다. 저장(貯藏)하다.
齒(치): 이. 이빨. 치아(齒牙).
則(즉): 그러나. 도리어. 오히려. ~하지만. ~이고. ~이요. ~하고. [역접(逆接)/전환(轉換) 관계(關係), 대비(對比), 나열(羅列)을 나타냄.]
折(절): 부러뜨리다. 자르다. 꺾다. 끊다. 쪼개다. 찢다. 절단(折斷)하다.
也(야): [조사(助辭)] ~이다. ~하다.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긍정(肯定), 결정(決定), 설명(說明), 판단(判斷)의 어기(語氣)를 표시(表示).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