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65)
《景行錄》云:「聲色者,敗德之具。思慮者,殘生之本。」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비속한 음악과 지나친 여색은 덕을 해치는 도구이다.
지나치게 많은 생각은 삶을 해치는 근원이다.”
경행록(景行錄)은 훌륭한 행실을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중국 송(宋)나라 시대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되어 명심보감(明心寶鑑)과 같은 고서에서 내용의 일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65)
景行錄云.
경행록운.
경행록(景行錄)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景(경): 크다. 숭고(崇高)하다. 위대(偉大)하다.
行(행):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景行(경행): ‘큰 길’, ‘크고 넓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도(大道)’, ‘훌륭한 행실(行實)’를 비유(比喩)한 말.
錄(록): 기록(記錄). 사실(事實)이나 언행(言行)을 기록(記錄)한 것/책자(冊子).
景行錄(경행록): 훌륭한 행실(行實)을 기록(記錄)한 책(冊)이라는 뜻으로, 중국(中國) 송(宋)나라 시대(時代)의 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전(失傳)되었음.
云(운):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聲色者 敗德之具.
성색자 패덕지구.
“가무(歌舞)와 여색(女色)은, 덕(德)을 해(害)치는 도구(道具)이다.
(비속(卑俗)한 음악(音樂)과 지나친 여색(女色)은, 덕(德)을 해(害)치는 도구(道具)이다.)
聲(성): ❶풍류(風流). ❷노래.
色(색): 여색(女色). 색정(色情). 정욕(情慾).
聲色(성색): 가무(歌舞)와 여색(女色).
*卑俗(비속): 격(格)이 낮고 속(俗)됨.
者(자): ~은. ~는. ~란. ~라는 것은. ~라는 사람은. ~라는 자(者)는. 낱말이나 구(句) 뒤에 쓰여 잠시(暫時) 멈추는 어기(語氣)를 나타냄.
敗(패): ❶해(害)치다. ❷망(亡)하게 하다. 몰락(沒落)시키다.
德(덕): 덕(德). 도덕(道德). 품행(品行). 정치적(政治的) 자질(子姪). 공정(公正)하고 포용성(包容性)있는 마음이나 품성(品性). 도덕적(道德的)/윤리적(倫理的) 이상(理想)을 실현(實現)해 나가는 인격적(人格的) 능력(能力).
之(지): ~의. ~는. ~은. ~하는. ~한. [관형어(冠形語)와 중심어(中心語) 사이에 쓰여 일반적(一般的)인 수식(修飾) 관계(關係)나 종속(從屬) 관계를 나타냄.]
具(구): 연장. 도구(道具). 용구(用具).
思慮者 殘生之本.
사려자 잔생지본.
여러 가지 일에 대(對)한 깊은 생각과 근심은 삶을 해치는 근원(根源)이다.”
(쓸데없는 생각이 지나치게 많은 것은, 삶을 해치는 근원(根源)이다.)
(지나치게 많은 생각은, 삶을 해치는 근원(根源)이다.)
思(사): 생각. 심정(心情). 정서(情緖).
慮(려): 생각.
思慮(사려): 여러 가지 일에 대(對)한 깊은 생각과 근심.
殘(잔): 못 쓰게 만들다. 손상(損傷)시키다. 파괴(破壞)하다. 해(害)롭게 하다. 해(害)치다.
生(생): 삶.
本(본): 근원(根源). 원천(源泉). 본원(本院). 시초(始初).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