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68) 天作孽猶可違(천작얼유가위) 自作孽不可活(자작얼불가활): 하늘이 내린 재앙(災殃)은 오히려 피할 수 있으나, 스스로 재앙을 만들면 살아남을 수가 없..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68)

 

 

太甲商王,成湯孫。曰:「天作猶可違,自作不可活。此之謂也。」

 

태갑(太甲)은 상()나라의 왕이며, 탕왕(湯王)의 손자이다.

 

상서() 상서(商書) 태갑중편(太甲中篇)에 태갑의 말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하늘이 내린 재앙(災殃)은 오히려 피할 수 있으나,

 

스스로 재앙을 만들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

 

 

 

태갑(太甲)은 중국 상()나라의 3대 임금인 태종(太宗)을 말합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68)

 

太甲商王 成湯孫.

태갑상왕 성탕손.

태갑(太甲)은 상()나라의 왕()이며, 탕왕(湯王)의 손자(孫子).

 

.

.

말하였다.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 상서(商書) 태갑중편(太甲中篇)에 태갑의 말이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天作猶可違,

천작유가위,

하늘이 만든 재앙(災殃)은 오히려 피()할 수 있으나,

(하늘이 내린 재앙(災殃)은 오히려 피할 수 있으나,)

 

自作不可活.

자작얼불가활.

스스로 재앙을 만들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

 

此之謂也.

차지위야.

이것의 의미(意味)이다.

(이것을 말한 것이다.)

 

 

※出典(출전):

- 1)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

- 2) () 상서(商書) 태갑중편(太甲中篇)

 

※原文(원문):

 

1)

孟子曰:「仁則榮,不仁則辱。今惡辱而居不仁,是猶惡而居下也。如惡之,莫如貴德而尊士,賢者在位,能者在職。國家閒暇,及是時明其政刑。雖大國,必畏之矣。《詩》云:『天之未陰雨,徹彼桑土,綢繆戶。今此下民,或敢侮予?』孔子曰:『此詩者,其知道乎!能治其國家,誰敢侮之?』今國家閒暇,及是時般樂怠敖,是自求禍也。禍無不自己求之者。《詩》云:『永言配命,自求多。』《太甲》曰:『天作,猶可違;自作,不可活。』此之謂也。

 

2)

王拜手稽首曰:「予小子不明于德,自不類。欲敗度,縱敗禮,以速戾于厥躬。天作,猶可違;自作,不可往背師保之訓,弗克于厥初,賴匡救之德,圖惟厥終。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원문(原文)인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상편(上篇)에는 앞에 다음과 같은 구절(句節)이 더 있습니다.

 

無不自己求之者.

화부무불자기구지자.

재앙(災殃)과 복()은 모두 자기(自己)가 불러들이는 것이다.

 

위의 명심보감(明心寶鑑)에 추가(追加)하여 해석(解釋)을 하면 조금 더 자연(自然)스럽습니다.

 

재앙(災殃)과 복()은 모두 자기(自己)가 불러들이는 것이다.

 

상서() 상서(商書) 태갑중편(太甲中篇)에 태갑의 말이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하늘이 만든 재앙(災殃)은 오히려 피()할 수 있으나, 스스로 재앙을 만들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을 말한 것이다.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