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字小學(사자소학) (1)
父生我身 母鞠我身.
부생아신 모국아신.
아버지께서는 나의 몸을 낳으셨고, 어머니께서는 나의 몸을 기르셨다.
父(부): 아버지 | 生(생): 낳다 |
我(아): 나 | 身(신): 몸 |
母(모): 어머니 | 鞠(국): 기르다 |
我(아): 나 | 身(신): 몸 |
※語句(어구):
-
★★★★★★★★★★★★★★★★★★★★
☆☆☆☆☆☆☆☆☆☆☆☆☆☆☆☆☆☆☆☆
※音(음)과 訓(훈):
父(부): [父(아비부), 총4획] ❶아버지. ②친족(親族)의 어른. ③늙으신네. ④관장(官長). ⑤창시자(創始者). ⑥나이 많은 남자(男子)에 대한 경칭(敬稱) (보). ⑦직업에 종사(從事)하는 사람의 총칭(總稱) (보).
生(생): [생(날생), 총5획] ❶낳다. 태어나다. 출생(出生)하다. ②나다. 생기다. 생겨나다. 자라나다. 성장(成長)하다. 생장(生長)하다. ③병(病), 사건(事件), 효과(效果) 따위가 나다. 생기다. 발생(發生)하다. 야기(惹起)되다. ④살다. 생존(生存)하다. ⑤기르다. ⑥서툴다. 서투르다. 미숙(未熟)하다. ⑦낯설다. 생소(生疏)하다. 익숙하지 않다. ⑧싱싱하다. 생생하다. 생동(生動)하다. ⑨음식(飮食)이나 과일 따위가 설다. 설익다. 날것이다. 생것이다. 덜 익다. ⑩만들다. ⑪불을 피우다/지피다/사르다/때다. ⑫백성(百姓). ⑬선비. 유생(儒生). ⑭배우는 사람. 생도(生徒). ⑮자기(自己)의 겸칭(謙稱). ⑯사람. ⑰낯선 사람. 잘 모르는 사람. ⑱어떤 일에 종사(從事)하는 사람. ⑲삶. ⑳목숨. 생명(生命). ㉑생애(生涯). 일생(一生). 평생(平生). ㉒생존(生存). ㉓생계(生計). 생활(生活). ㉔날. 익지 않음. ㉕살아 있는 것. ㉖성(姓)의 하나. ㉗살아 있는. 생명(生命)이 있는. ㉘가공(加工)하지 않은. 천연적(天然的)인. 자연(自然) 그대로의. ㉙자기(自己)를 직접 낳은. 자신(自身)을 직접 낳은. ㉚매우. 아주. 몹시. 대단히. ⓐ억지로. 한사코. 무리하게. ⓑ서툴게. 겨우.
我(아): [戈(창과), 총7획] ❶나. 저. ②자기(自己). 자신(自身). ③우리. 우리들. ④모두. 많은 사람. 여러 사람. [너와 나를 함께 가리키거나, 많은 사람을 두루 가리킬 때 쓰임.] ⑤외고집(固執). ⑥아집(我執)을 부리다. ⑦굶주리다.
身(신): [身(몸신), 총7획] ❶몸. 몸뚱이. 신체(身體). ②몸통. 줄기. 주(主)된 부분(部分). 물건(物件)의 중요(重要) 부분(部分). ③나. 스스로.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④목숨. 생명(生命). ⑤일생(一生). 한평생(平生). 종신(終身). ⑥사람의 품격(品格)과 수양(修養). 교양(敎養). ⑦사회적(社會的) 지위(地位). 신분(身分). 출신(出身). ⑧나이. ⑨벌. 의복(倚伏)을 세는 단위(單位). ⑩성(姓)의 하나. ⑪몸소. 친(親)히. ⑫아이를 배다. ⑬체험(體驗)하다. ⑭나라의 이름. 건독(身毒) (건).
母(모): [毋(말무), 총5획] ❶어머니. ②할머니. 나이 많은 여자(女子). ③어머니뻘의 여자(女子). ④암컷. ⑤모체(母體). ⑥근본(根本). ⑦유모(乳母). ⑧본전(本錢). 원금(元金). ⑨표준(標準). ⑩엄지손가락. ⑪기르다. ⑫본뜨다.
鞠(국): [革(가죽혁), 총17획] ❶기르다. 양육(養育)하다. 부양(扶養)하다. ②사랑하다. ③가난하고 어렵다. 궁(窮)하다. ④구부리다. 굽히다. ⑤국문(鞠問)하다. 심문(審問)하다. ⑥알리다. 고(告)하다. ⑦어리다. ⑧공. 가죽으로 만든 공. ⑨국화(菊花). ⑩성(姓)의 하나.
我(아): [戈(창과), 총7획] ❶나. 저. ②자기(自己). 자신(自身). ③우리. 우리들. ④모두. 많은 사람. 여러 사람. [너와 나를 함께 가리키거나, 많은 사람을 두루 가리킬 때 쓰임.] ⑤외고집(固執). ⑥아집(我執)을 부리다. ⑦굶주리다.
身(신): [身(몸신), 총7획] ❶몸. 몸뚱이. 신체(身體). ②몸통. 줄기. 주(主)된 부분(部分). 물건(物件)의 중요(重要) 부분(部分). ③나. 스스로. 본인(本人). 자기(自己). 자신(自身). ④목숨. 생명(生命). ⑤일생(一生). 한평생(平生). 종신(終身). ⑥사람의 품격(品格)과 수양(修養). 교양(敎養). ⑦사회적(社會的) 지위(地位). 신분(身分). 출신(出身). ⑧나이. ⑨벌. 의복(倚伏)을 세는 단위(單位). ⑩성(姓)의 하나. ⑪몸소. 친(親)히. ⑫아이를 배다. ⑬체험(體驗)하다. ⑭나라의 이름. 건독(身毒) (건).
★★★★★★★★★★★★★★★★★★★★
☆☆☆☆☆☆☆☆☆☆☆☆☆☆☆☆☆☆☆☆
※參考(참고):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편(孝行篇) 001에도 위와 비슷한 글이 실려 있습니다.
※參考(참고):
효(孝)와 관련(關聯)있는 글들.
-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편(孝行篇) (바로 가기)
- 백유읍장(伯兪泣杖) (바로 가기)
- 철숙음수(啜菽飮水) (바로 가기)
- 풍수지탄(風樹之嘆) (바로 가기)
※參考(참고):
시경(詩經)은 유교(儒敎)의 기본(基本) 경전(經典)인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중국(中國)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입니다. 사자소학(四字小學) 001에서 006까지의 글은 시경에 실려 있는 육아(蓼莪)라는 시(詩)에서 비슷한 내용(內容)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여섯 장(章)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出典(출전):
-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지십(小旻之什) 육아(蓼莪)
※原文(원문):
蓼蓼者莪、匪莪伊蒿。
哀哀父母、生我劬勞。
蓼蓼者莪、匪莪伊蔚。
哀哀父母、生我勞瘁。
缾之罊矣、維罍之恥。
鮮民之生、不如死之久矣。
無父何怙、無母何恃。
出則銜恤、入則靡至。
父兮生我、母兮鞠我。
拊我畜我、長我育我。
顧我復我、出入腹我。
欲報之德、昊天罔極。
南山烈烈、飄風發發。
民莫不穀、我獨何害。
南山律律、飄風弗弗。
民莫不穀、我獨不卒。
※原文(원문) / 解釋(해석):
蓼蓼者莪 匪莪伊蒿.
육육자아 비아이호.
커다랗게 자란 것이 귀(貴)한 참쑥인가 했더니, 귀한 참쑥이 아니고 흔하디 흔한 사철쑥이네.
(부모(父母)님께서는 귀(貴)하게 자라 훌륭한 인물(人物)이 되기를 바라셨으나, 평범(平凡)한 인물이 되었음을 자책(自責)하는 내용(內容)의 글로 해석(解釋)할 수 있습니다.)
哀哀父母 生我劬勞.
애애부모 생아구로.
부모님 생각에 슬프고 가슴이 아프도다, 나를 낳으시고 기르시느라 고생만 하셨구나.
蓼蓼者莪 匪莪伊蔚.
육육자아 비아이위.
커다랗게 자란 것이 귀한 참쑥인가 했더니, 귀한 참쑥이 아니고 흔하디 흔한 제비쑥이네.
哀哀父母 生我勞瘁.
애애부모 생아로췌.
부모님 생각에 슬프고 가슴이 아프도다, 나를 기르시느라 지치고 힘들어 몸이 마르고 핼쑥해지셨구나.
缾之罊矣 維罍之恥.
병지계의 유뢰지치.
술을 담는 그릇이 비어 있음은, 술독의 수치(羞恥)로 여기시네.
(부모님께서는 자식(子息)의 부족(不足)함을 자기(自己)의 탓으로 여기시네. )
(술을 담는 그릇(작은 술병)은 자식을, 술독은 부모를 비유한 말로, 부모님은 자식의 부족함을 부모의 부끄러움으로 여긴다는 뜻.)
(술잔에 술이 채워지지 못함은 술독의 수치(羞恥), 즉 자식의 부족함이나 잘못은 부모의 부끄러움이며, 술을 다 내어준 빈 술독처럼 부모님께서 어려워 지심은 자식의 탓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鮮民之生 不如死之久矣.
선민지생 불여사지구의.
가난하고 부모가 없는 외로운 사람의 삶은 죽느니만 못한지 오래이다.
(부모님께서 살아 계시지 않은 삶은 일찍 죽느니만 못하구나.)
無父何怙 無母何恃.
무부하호 무모하시.
아버님께서 계시지 않으니 무엇을 믿겠는가? 어머님께서 계시지 않으니 무엇을 의지하겠는가?
出則銜恤 入則靡至.
출즉함휼 입즉미지.
나가면 근심을 마음에 품게 되고, 들어와도 이를 곳이 없네.
(부모님께서 살아 계시지 않으니 밖에 나가면 근심만 쌓이고, 집에 들어와도 편히 쉴 곳이 없구나.)
父兮生我 母兮鞠我.
부혜생아 모혜국아.
아버님께서는 나를 낳으셨고, 어머님께서는 나를 기르셨도다.
拊我畜我 長我育我.
부아축아 장아육아.
나를 사랑하시고 나를 보살펴서 자라게 하셨으며, 나를 키우시고 나를 길러 주셨네.
顧我復我 出入腹我.
고아복아 출입복아.
나를 돌보아 주시고 나를 채워 주셨으며, 나갈 때나 들어올 때나 나를 품에 안아 주셨네.
欲報之德 昊天罔極.
욕보지덕 호천망극.
그 덕(德)을 갚고자 하여도, 하늘처럼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구나.
南山烈烈 飄風發發.
남산열렬 표풍발발.
남산(南山)의 산세(山勢)가 험하여 회오리바람이 세차네.
民莫不穀 我獨何害.
민막불곡 아독하해.
사람들은 모두 즐거워하거늘, 나만 홀로 어찌 마음이 아픈 것인가?
南山律律 飄風弗弗.
남산율률 표풍불불.
남산의 산세가 험하여 회오리바람이 세차네.
民莫不穀 我獨不卒.
민막불곡 아독부졸.
사람들은 모두 즐거워하거늘, 나만 홀로 (부모님 봉양(奉養)을) 다하지 못하였구나.
★★★★★★★★★★★★★★★★★★★★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