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伯兪泣杖(백유읍장) – 늙고 쇠약해지신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슬퍼한다는 뜻.


伯兪泣杖.

백유읍장.

백유(伯兪)가 몽둥이에 울다. 백유(伯兪)가 매를 맞으며 울다. 백유(伯兪)가 매를 맞고 울다.

1) 늙고 쇠약(衰弱)해지신 부모(父母)님의 모습을 보고 슬퍼한다는 뜻.

2) 부모(父母)님에 대()한 지극(至極)한 효심(孝心)을 비유(比喩)하는 말.

 


 

(설원(說苑) 건본편(建本篇) 중에서……)

 

백유()가 잘못을 저질러서 그의 어머니가 매질을 하니 눈물을 흘렸다.

 

궁금해진 어머니가 아들에게 물었다.

 

이전에는 내가 매질을 하여도 네가 우는 것을 본 적이 없었는데, 지금은 무엇 때문에 우는 것이냐?”

 

백유가 대답하였다.

 

이전에는 제가 잘못을 저질러서 어머님께 맞으면 아픔이 심하였으나,

 

지금은 어머님께서 늙고 쇠약해지신 까닭에 맞아도 아픔을 느낄 수 없으니,

 

마음이 아프고 괴로워 눈물이 흐릅니다.”

 

 

그래서 말하기를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시더라도 원망하는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며, 벌하시더라도 달게 받고 깊이 반성하여 부모님께서 애처롭고 가엾게 여기어 용서하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시더라도 원망하는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는 것은 그 다음으로 좋은 방법이며,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실 때 원망하는 마음을 품고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는 것은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백유(伯兪)는 중국(中國) ()나라 사람인 한백유(韓伯兪)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백유는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향(劉向)이 편찬(編纂)한 설화집(說話集)인 설원(說苑)에는 그의 효심(孝心)에 관()한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어느 날 백유가 잘못을 저질렀고, 어머니가 그에게 매질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매를 맞던 백유가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 시작(始作)하였습니다.

 

이전(以前)에는 매를 맞더라도 눈물을 보이지 않던 아들이 울자, 궁금해진 어머니가 아들인 벡유에게 물었습니다.

 

그러자 백유는 다음과 같이 대답(對答)하였습니다.

 

이전에는 제가 잘못을 저질러서 어머님께 맞으면 아픔이 심()하였으나, 지금은 어머님께서 늙고 쇠약(衰弱)해지신 까닭에 맞아도 아픔을 느낄 수 없으니, 마음이 아프고 괴로워 눈물이 흐릅니다.”

 

백유가 몽둥이에 울다’,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울다라는 뜻의 백유읍장(伯兪泣杖)은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원문(原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이어져 있습니다.

 

부모(父母)님께서 노여워하시더라도 원망(怨望)하는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언짢은 기색(氣色)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며, ()하시더라도 달게 받고 깊이 반성(反省)하여 부모님께서 애처롭고 가엾게 여기어 용서(容恕)하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方法)이다.”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설원(說苑) 건본편(建本篇)

 

※원문(原文):

有過,其母笞之泣,其母曰:「他日笞子未嘗見泣,今泣何也?」對曰:「他日得罪笞嘗痛,今母力不能使痛,是以泣。」故曰父母怒之,不作於意,不見於色,深受其罪,使可哀憐,上也;父母怒之,不作於意,不見其色,其次也;父母怒之,作於意,見於色,下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有過 其母笞之泣 其母曰.

백유유과 기모태지읍 기모왈.

백유()가 잘못이 있어, 그의 어머니가 그를 때리니 울었고, 그의 어머니가 말하였다.

(백유()가 잘못을 저질러서, 그의 어머니가 매질을 하니 눈물을 흘렸다. 궁금해진 어머니가 아들에게 물었다.)

 

他日笞子未嘗見泣 今泣何也.

타일태자미상견읍 금읍하야.

“지난날 너를 때리면 일찍이 우는 것을 본 적이 없었는데, 지금(只今) 우는 것은 무엇이냐?”

(이전(以前)에는 내가 매질을 하여도 네가 우는 것을 본 적이 없었는데, 지금(只今)은 무엇 때문에 우는 것이냐?)

 

對曰.

대왈.

대답(對答)하였다.

(백유가 대답(對答)하였다.)

 

他日得罪笞嘗痛 今母力不能使痛 是以泣.

타일유득죄태상통 금모력불능사통 시이읍.

“지난날 제가 죄()를 지어 때리면 아픔을 겪었는데, 지금 어머님의 힘은 아프게 할 수 없으니, 그래서 웁니다.”

(이전에는 제가 잘못을 저질러서 어머님께 맞으면 아픔이 심()하였으나, 지금은 어머님께서 늙고 쇠약(衰弱)해지신 까닭에 맞아도 아픔을 느낄 수 없으니, 마음이 아프고 괴로워 눈물이 흐릅니다.)

 

故曰父母怒之,

고왈부모노지,

그래서 말하기를 부모(父母)님께서 노여워하시면,

(그래서 말하기를 부모(父母)님께서 노여워하시더라도,)

 

不作於意 不見於色 深受其罪 使可哀憐 上也,

부작어의 불현어색 심수기죄 사가애련 상야,

마음에 만들지 아니하고,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며, 그 죄()를 깊이 받아서, 애처롭고 가엾게 여기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요,

(원망(怨望)하는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언짢은 기색(氣色)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며, ()하시더라도 달게 받고 깊이 반성(反省)하여, 부모님께서 애처롭고 가엾게 여기어 용서(容恕)하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方法)이며,)

 

父母怒之 不作於意 不見其色 其次也,

부모노지 부작어의 불현기색 기차야,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시면, 마음에 만들지 아니하고, 그 얼굴을 드러내지 아니하는 것이, 그 다음이요,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시더라도, 원망하는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하는 것은, 그 다음으로 좋은 방법이며,)

 

父母怒之 作於意 見於色 下也.

부모노지 작어의 현어색 하야.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시면, 마음에 만들고, 얼굴에 드러내는 것이, ()라고 하였다.

(부모님께서 노여워하실 때, 원망하는 마음을 품고,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는 것은, 가장 좋지 않은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유의어(類義語):

- 백유지효(伯兪之孝)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