綠林.
녹림.
푸른 숲. 녹색(綠色) 산림(山林). 녹림산(綠林山).
1) 도적(盜賊)떼. 도적(盜賊)의 소굴(巢窟). 불한당(不汗黨). 산적(山賊). 화적(火賊). 녹림군(綠林軍). 녹림호한(綠林好漢).
(한서(漢書) 중에서……)
이 때 남군의 장패(張霸), 강하의 양목(羊牧), 왕광(王匡) 등이 운두의 녹림산(綠林山)에서 군대를 일으켜 이름을 ‘하강의 군대’라 하였는데, 무리가 모두 만여 명이었다.
====================
(후한서(後漢書) 중에서……)
왕망(王莽) 말기, 남쪽 지역은 필요한 물자가 몹시 부족했다.
대부분의 백성들은 들이나 못으로 나가 풀을 뜯어먹다가 이것마저도 부족해지자 서로 빼앗아 먹었다.
신시 사람 왕광(王匡)과 왕봉(王鳳)이 나서서 백성들 사이의 난리를 진정시키니, 백성들이 왕광과 왕봉을 무리의 우두머리로 추대하였는데, 그 무리가 수백 명이나 되었다.
소문을 듣고 모두 마무(馬武), 왕상(王常), 성단(成丹) 등이 찾아와서 합류하였다.
함께 이향취를 공격하고 녹림산(綠林山)의 속으로 숨었는데, 불과 몇 달 사이에 팔천 명 가까이 늘어났다.
녹림(綠林)은 현재(現在) 대홍산(大洪山)이라 불리는 중국(中國) 호북성(湖北省)에 있는 산(山)의 이름입니다.
이 녹림이 ‘도적(盜賊)떼’ 또는 ‘도적(盜賊)의 소굴(巢窟)’의 뜻으로 쓰이게 된 유래(由來)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한(前漢) 말기(末期), 왕망(王莽)이 권력(權力)을 찬탈(簒奪)하고 황제(皇帝)에 즉위(卽位)하였습니다.
왕망은 국호(國號)를 신(新)으로 바꾸고 많은 개혁(改革)을 단행(斷行)하였으나 모두 실패(失敗)하였고, 지방(地方) 호족(豪族)들과 백성(百姓)들에게 원망(怨望)만 사게 되었습니다.
이는 전국(全國) 각지(各地)에서 반란(反亂)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原因)이 되었는데, 장패(張霸), 양목(羊牧), 왕광(王匡) 등(等)도 녹림산(綠林山)에서 백성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키고 차츰 세력(勢力)을 넓혀 나갔습니다.
그리고 굶주린 백성들과 함께 녹림산을 중심으로 강도질(強盜)을 하기 시작(始作)하였는데, 이때부터 녹림은 ‘도적떼’ 또는 ‘도적의 소굴’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한서(漢書)와 후한서(後漢書)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출전(出典):
- 한서(漢書) 왕망전하(王莽傳下)
- 후한서(後漢書)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원문(原文):
- 한서(漢書) 왕망전하(王莽傳下)
是時,南郡張霸、江夏羊牧、王匡等起雲杜綠林,號曰下江兵,眾皆萬餘人。武功中水鄉民三舍墊為池。
- 후한서(後漢書)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王莽末,南方飢饉,人庶群入野澤,掘鳧茈而食之,更相侵奪。新市人王匡、王鳳為平理諍訟,遂推為渠帥,眾數百人。於是諸亡命馬武、王常、成丹等往從之;共攻離鄉聚,臧於綠林中,數月閒至七八千人。地皇二年,荊州牧某發奔命二萬人攻之,匡等相率迎擊於雲杜。大破牧軍,殺數千人,盡獲輜重,遂攻拔竟陵。轉擊雲杜、安陸,多略婦女,還入綠林中,至有五萬餘口,州郡不能制。
※원문(原文) / 해석(解釋):
한서(漢書) 왕망전하(王莽傳下)
是時 南郡張霸江夏羊牧王匡等起雲杜綠林,
시시 남군장패강하양목왕광등기운두녹림,
이 때, 남군(南郡)의 장패(張霸), 강하(江夏)의 양목(羊牧), 왕광(王匡) 등(等)이 운두(雲杜)의 녹림산(綠林山)에서 일어나,
(이 때, 남군(南郡)의 장패(張霸), 강하(江夏)의 양목(羊牧), 왕광(王匡) 등(等)이 운두(雲杜)의 녹림산(綠林山)에서 군대(軍隊)를 일으켜,)
號曰下江兵 眾皆萬餘人.
호왈하강병 중개만여인.
이름을 ‘하강(下江)의 군대’라 하였는데, 무리가 모두 만여(萬餘) 명(名)이었다.
====================
후한서(後漢書) 유현유분자열전(劉玄劉盆子列傳)
王莽末 南方飢饉,
왕망말 남방기근,
왕망(王莽) 말기(末期), 남(南)쪽 지역(地域)은 필요(必要)한 물자(物資)가 몹시 부족(不足)했고,
人庶群入野澤 掘鳧茈而食之 更相侵奪.
인서군입야택 굴부자이식지 경상침탈.
서민(庶民)의 무리는 들과 못에 들어가 부자(鳧茈)를 캐서 그것을 먹다가, 또한 서로 빼앗았다.
(대부분(大部分)의 백성(百姓)들은 들이나 못으로 나가 풀을 뜯어먹다가, 이것마저도 부족(不足)해지자 서로 빼앗아 먹었다.)
新市人王匡王鳳為平理諍訟,
신시인왕광왕봉위평리쟁송,
신시(新市) 사람 왕광(王匡)과 왕봉(王鳳)이 다툼을 평정(平定)하고 다스림을 행(行)하니,
(신시(新市) 사람 왕광(王匡)과 왕봉(王鳳)이 나서서 백성들 사이의 난리(亂離)를 진정(鎭靜)시키니,)
遂推為渠帥 眾數百人.
수추위거수 중수백인.
곧 추천(推薦)하여 우두머리가 되었는데, 무리가 수백(數百) 명이었다.
(백성들이 왕광과 왕봉을 무리의 우두머리로 추대(推戴)하였는데, 그 무리가 수백(數百) 명이나 되었다.)
於是諸亡命馬武王常成丹等往從之,
어시제망명마무왕상성단등왕종지,
이에 모두 망명(亡命)하여 마무(馬武), 왕상(王常), 성단(成丹) 등이 와서 그들을 따랐고,
(소문(所聞)을 듣고 모두 마무(馬武), 왕상(王常), 성단(成丹) 등이 찾아와서 합류(合流)하였고,)
共攻離鄉聚 臧於綠林中 數月閒至七八千人.
공공이향취 장어녹림중 수월간지칠팔천인.
함께 이향취(離鄉聚)를 공격(攻擊)하고, 녹림산(綠林山)의 속으로 숨었는데, 몇 달 사이에 칠팔천(七八千) 명에 이르렀다.
(함께 이향취(離鄉聚)를 공격(攻擊)하고, 녹림산(綠林山)의 속으로 숨었는데, 불과(不過) 몇 달 사이에 팔천(八千) 명 가까이 늘어났다.)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矛盾(모순) – 말, 행동, 사실 따위가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20 |
---|---|
登龍門(등용문) – 어려움을 극복하고 좋은 기회를 잡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19 |
掛冠(괘관) – 관직에서 물러남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17 |
效顰(효빈) / 效矉(효빈) –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다른 사람을 함부로 흉내 냄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16 |
暴虎馮河(포호빙하) – 용감한 듯 보이지만 어리석은 행동을 뜻하는 말. (0) | 2019.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