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1) 君子有三恕(군자유삼서): 군자는 세 가지의 서(恕)를 갖추고 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1)

 

 

子貢曰:「君子有三恕。有君不能事,有人而求其使,非恕也;有親不能報,有子而求其孝,非恕也;有兄不能敬,有弟而求其聽令,非恕也。士明於此三恕,則可以端身矣。」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군자는 세 가지의 서()를 갖추고 있다.

 

임금은 잘 섬기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기에게 순종하기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부모님의 은혜에는 잘 보답하지 못하면서 자식들이 자기에게 효도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형은 잘 공경하지 못하면서 아우가 자기의 명령에 따르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다.

 

선비가 이 세 가지 서에 밝다면 자기를 바르게 할 수 있다.”

 

 

 

(): ❶다른 사람의 처지(處地)에 서서 동정(同情)하는 마음. 너그러움. 어짊. 사랑. 인자(仁慈). 관대(寬大). (). ②거의. ③용서(容恕)하다. 관대(寬大)히 봐주다. 다른 사람의 잘못을 따지지 않다. 문제(問題) 삼지 않다. ④너그럽다. 어질다. 인자(仁慈)하다. 관대(寬大)하다. ()하다. 어질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다. 자기(自己)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다. 동정(同情)하다. 다른 사람의 처지(處地)에 서서 동정(同情)하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81)

 

子貢曰.

자공왈.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君子有三恕.

군자유삼서.

“군자(君子)는 세 가지의 서()를 갖추고 있다.

 

有君不能事 有人而求其使 非恕也,

유군불능사 유인이구기사 비서야,

임금은 잘 섬기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순종(順從)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임금은 잘 섬기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자기(自己)에게 순종(順從)하기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有親不能報 有子而求其孝 非恕也,

유친불능보 유자이구기효 비서야,

부모(父母)님은 잘 보답(報答)하지 못하고, 자식(子息)이 효도(孝道)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부모(父母)님의 은혜(恩惠)에는 잘 보답(報答)하지 못하면서, 자식(子息)들이 자기에게 효도(孝道)하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며,)

 

有兄不能敬 有弟而求其聽令 非恕也.

유형불능경 유제이구기청령 비서야.

()은 잘 공경(恭敬)하지 못하고, 아우가 명령(命令)을 따르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다.

(()은 잘 공경(恭敬)하지 못하면서, 아우가 자기의 명령(命令)에 따르기를 바라는 것은 서가 아니다.)

 

士明於此三恕 則可以端身矣.

사명어차삼서 즉가이단신의.

선비가 이 세 가지 서에 밝다면, 자기를 바르게 할 수 있다.”

 

 

 

※出典(출전):

- 순자(荀子) 법행편(法行篇)

 

※原文(원문):

孔子曰:「君子有三恕:有君不能事,有臣而求其使,非恕也;有親不能報,有子而求其孝,非恕也;有兄不能敬,有弟而求其聽令,非恕也。士明於此三恕,則可以端身矣。」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