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亡羊補牢(망양보뢰) –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亡羊補牢.

망양보뢰.

()을 잃고 우리를 고치다.

1)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所用)이 없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2) *[원문(原文)] 일이 잘못되었더라도 빨리 잘못을 바로잡는다면 늦은 것이 아님을 비유(比喩)하는 말.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중에서……)

 

장신(莊辛)이 초()나라 양왕(襄王)에게 말하였다.

 

왕의 왼쪽은 주후(州侯), 오른쪽은 하후(夏侯), 수레는 언릉군(陵君)과 수릉군(壽陵君)이 따르며 음란하고 사치스러운 일에만 몰두하고 나라의 정치는 돌보지 아니하니, 초나라의 도읍인 영도는 틀림없이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양왕이 말하였다.

 

선생(先生)은 늙어서 망령이 들었소? 헛소문을 퍼뜨려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생각인가?”

 

장신이 말하였다.

 

신이 그들을 보니 틀림없이 그러할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감히 나라가 혼란스러워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왕께서 그들을 멀리하지 않으신다면 초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입니다.

 

신은 먼저 조()나라로 피해서 그곳에 머무르며 상황을 지켜보겠습니다.”

 

장신이 조나라로 떠난 뒤 다섯 달이 지나니, ()나라는 과연 언(), (), (), (), ()의 땅으로 쳐들어왔고, 양왕은 성양(城陽)으로 피신하였다.

 

이에 양왕은 조나라에 사람을 보내 장신을 급히 불러들였다.

 

장신은 양왕의 부름을 받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좋습니다”

 

장신이 도달하자 양왕이 말하였다.

 

과인이이 선생의 말을 듣지 아니하여 지금 이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으니, 나라를 위하여 무엇을 어찌해야겠소?”

 

장신이 대답하여 말하였다.

 

“신이 듣기로는 속담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토끼를 보고 사냥개를 돌아보는 것은 아직 늦은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을 잃고 우리를 고치는 것도 아직 늦은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또 신이 듣기로는 옛날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은 사방이 일백 리도 안 되는 작은 땅에서 시작하여 크게 번성하였으며,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은 온 세상을 차지하였으나 결국 망하였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비록 초나라가 진나라에 많은 땅을 빼앗겼으나, 긴 곳을 잘라 작은 곳을 이어보면 아직은 초나라의 땅이 사방으로 수천 리나 되니, 일백 리의 땅에서 시작한 탕왕과 무왕보다는 훨씬 좋은 상황이 아니겠습니까?”

 


 

 

 

 

망양보뢰(亡羊補牢)()을 잃고 우리를 고치다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는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말이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망양보뢰의 유래(由來)가 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는 일이 잘못되었더라도 빨리 잘못을 뉘우치고 바로잡는다면 늦지 않다라는 긍정적(肯定的)인 뜻으로 사용(使用)되었으나, 요즘은 일이 잘못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所用)이 없다라는 부정적(否定的)인 뜻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원문(原文):

莊辛謂楚襄王曰:「君王左州侯,右夏侯,輦從陵君與壽陵君,專淫逸侈靡,不顧國政,都必危矣。」襄王曰:「先生老悖乎?將以楚國祥乎?」莊辛曰:「臣誠見其必然者也,非敢以祥也。君王卒幸四子者不衰,楚國必亡矣。臣請於趙,淹留以觀之。」莊辛去之趙,留五月,秦舉鄢、巫、上蔡、陳之地,襄王流於城陽。於是使人發騶,徵莊辛於趙。莊辛曰:「諾。」莊辛至,襄王曰:「寡人不能用先生之言,今事至於此,之奈何?」莊辛對曰:「臣聞鄙語曰:『見而顧犬,未為晚也;亡羊而補牢,未遲也。』臣聞昔湯、武以百里昌,桀、紂以天下亡。今楚國雖小,長續短,猶以數千里,豈特百里哉?王獨不見夫蜻蛉乎?六足四翼,飛翔乎天地之間,啄蚊而食之,仰承甘露而之,自以無患,與人無爭也。不知夫五尺童子,方將調膠絲,加己乎四之上,而下為螻蟻食也。蜻蛉其小者也,黃雀因是以。俯白粒,仰棲茂樹,鼓翅奮翼,自以無患,與人無爭也。不知夫公子王孫,左挾彈,右攝丸,將加己乎十之上,以其類招。晝游乎茂樹,夕調乎酸鹹,忽之間,墜於公子之手。夫雀其小者也,黃鵠因是以。游於江海,淹乎大沼,府噣鱔鯉,仰嚙蔆衡,奮其六,而凌風,飄搖乎高翔,自以無患,與人無爭也。不知夫射者,方將脩其盧,治其繒,將加己乎百之上。彼磻,引微,折風而矣。故晝游乎江河,夕調乎鼎。夫黃鵠其小者也,蔡聖侯之事因是以。南游乎高陂,北陵乎巫山,茹谿流,食湘波之魚,左抱幼妾,右擁嬖女,與之馳騁乎高蔡之中,而不以國家。不知夫子發方受命乎宣王,繫己以朱絲而見之也。蔡聖侯之事其小者也,君王之事因是以。左州侯,右夏侯,輩從陵君與壽陵君,飯封祿之粟,而戴方府之金,與之馳騁乎雲夢之中,而不以天下國家事。不知夫穰侯方受命乎秦王,填黽塞之內,而投己乎塞之外。」襄王聞之,色變作,身體戰慄。於是乃以執珪而授之陽陵君,與淮北之地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莊辛謂楚襄王曰.

장신위초양왕왈.

장신(莊辛)이 초()나라 양왕(襄王)에게 말하였다.

 

君王左州侯 右夏侯 輦從陵君與壽陵君,

군왕좌주후 우하후 연종언릉군여수릉군,

“왕()의 왼쪽은 주후(州侯), 오른쪽은 하후(夏侯), 수레는 언릉군(陵君)과 수릉군(壽陵君)이 따르며,

 

專淫逸侈靡 不顧國政 都必危矣.

전음일치미 불고국정 영도필위의.

음란(淫亂)하고 사치(奢侈)함에 몰두(沒頭)하고, 나라의 정치(政治)는 돌아보지 아니하니, 영도()는 틀림없이 위태(危殆)로워질 것입니다.

(음란(淫亂)하고 사치(奢侈)스러운 일에만 몰두(沒頭)하고, 나라의 정치(政治)는 돌보지 아니하니, 초나라의 도읍(都邑)인 영도()는 틀림없이 위태(危殆)로워질 것입니다.)

 

襄王曰.

양왕왈.

양왕이 말하였다.

 

先生老悖乎. 將以楚國祥乎.

선생로패호. 장이위초국요상호.

“선생(先生)은 늙어서 망령(妄靈)이 들었소? 장차(將次) 초나라의 재앙(災殃)이 되려는 생각인가?”

(선생(先生)은 늙어서 망령(妄靈)이 들었소? 헛소문(所聞)을 퍼뜨려 나라를 혼란(混亂)에 빠뜨리려는 생각인가?)

 

莊辛曰.

장신왈.

장신이 말하였다.

 

臣誠見其必然者也 非敢以祥也.

신성견기필연자야 비감이위국요상야.

()이 자세(仔細)히 보니 그는 반드시 그러할 사람이니, ()히 나라의 재앙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 그들을 보니 틀림없이 그러할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감()히 나라가 혼란스러워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君王卒幸四子者不衰 楚國必亡矣.

군왕졸행사자자불쇠 초국필망의.

왕께서 끝내 네 사람을 총애(寵愛)하심을 줄이지 않으신다면, 초나라는 반드시 망()합니다.

(왕께서 그들을 멀리하지 않으신다면, 초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입니다.)

 

臣請於趙 淹留以觀之.

신청피어조 엄류이관지.

신은 조()나라로 떠나기를 청()하오니, 오래 머무르며 이를 지켜보겠습니다.

(신은 먼저 ()나라로 피()해서, 그곳에 머무르며 상황(狀況)을 지켜보겠습니다.)

 

莊辛去之趙 留五月,

장신거지조 류오월,

장신이 조나라에 가서, 다섯 달을 머무르자,

(장신이 조나라로 떠난 뒤 다섯 달이 지나니,)

 

秦果舉鄢郢巫上陳之地 襄王流於城陽.

진과거언영무상진지지 양왕유엄어성양.

()나라는 과연(果然) (), (), (), (), ()의 땅을 일으켰고, 양왕은 떠돌다가 성양(城陽)에 숨었다.

(()나라는 과연(果然) (), (), (), (), ()의 땅으로 쳐들어왔고, 양왕은 성양(城陽)으로 피신(避身)하였다.)

 

於是使人發騶 徵莊辛於趙.

어시사인발추 징장신어조.

이에 사람을 시켜 마부(馬夫)를 보내, 조나라에서 장신을 불렀다.

(이에 양왕은 조나라에 사람을 보내 장신을 급()히 불러들였다.)

 

莊辛曰.

장신왈.

장신이 말하였다.

(장신은 양왕의 부름을 받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

.

“좋습니다”

 

莊辛至 襄王曰.

장신지 양왕왈.

장신이 도달(到達)하자, 양왕이 말하였다.

 

寡人不能用先生之言 今事至於此 之奈何.

과인불능용선생지언 금사지어차 위지내하.

과인(寡人)이 선생의 말을 쓸 능력(能力)이 없어, 지금(只今) 일이 이에 이르렀으니, 그것을 위()하여 어찌해야겠소?”

(과인(寡人)이이 선생의 말을 듣지 아니하여, 지금(只今) 이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으니, 나라를 위하여 무엇을 어찌해야겠소?)

 

莊辛對曰.

장신대왈.

장신이 대답(對答)하여 말하였다.

 

臣聞鄙語曰.

신문비어왈.

“신이 듣기로는 속담(俗談)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而顧犬為晚,

견토이고견 미위만야,

‘토끼를 보고 사냥개를 돌아보는 것은, 아직 늦은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亡羊而補牢 未遲也.

망양이보뢰 미위지야.

()을 잃고 우리를 고치는 것은, 아직 늦은 것이라고 할 수 없다.’

 

臣聞昔湯武以百里昌 桀紂以天下亡.

신문석탕무이백리창 걸주이천하망.

신이 듣기로는 옛날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은 일백(一百) ()에서 번성(蕃盛)하였으며,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은 천하(天下)에서 망()하였습니다.

(또 신이 듣기로는 옛날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은 사방(四方)이 일백(一百) ()도 안 되는 작은 땅에서 시작(始作)하여 크게 번성(蕃盛)하였으며,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은 온 세상(世上)을 차지하였으나 결국(結局) ()하였다고 했습니다.)

 

今楚國雖小 長續短 猶以數千里 豈特百里哉.

금초국수소 절장속단 유이수천리 기특백리재.

지금 초나라가 비록 작지만, 긴 곳을 잘라 작은 곳을 잇는다면, 오히려 수천(數千) 리이니, 어찌 일백 리 뿐이겠습니까?”

(지금은 비록 초나라가 진나라에 많은 땅을 빼앗겼으나, 긴 곳을 잘라 작은 곳을 이어보면, 아직은 초나라의 땅이 사방으로 수천(數千) 리나 되니, 일백 리의 땅에서 시작한 탕왕과 무왕보다는 훨씬 좋은 상황이 아니겠습니까?)

 

※유의어(類義語):

- 亡牛補牢(망우보뢰)

- 만시지탄(晩時之歎)

-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 사후청심환(死後淸心丸)

- 실마치구(失馬治廐)

- 십일지국(十日之菊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