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자리가 끝난 뒤의 어지러운 모양을 비유하는 말.


杯盤狼藉.

배반낭자.

술잔과 쟁반(錚盤)만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1) 술자리가 끝난 뒤의 어지러운 모양(模樣)을 비유(比喩)하는 말.

2) 한창 술을 마시며 노는 모양(模樣)을 비유(比喩)하는 말.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 중에서……)

 

()나라의 위왕(威王)이 크게 기뻐하며 후궁에 주연을 베풀고, 순우곤(淳于)을 불러 그에게 술을 하사하였다.

 

위왕이 순우곤에게 물었다.

 

선생은 얼마를 마셔야 취하는가?”

 

순우곤이 대답하였다.

 

“신은 한 말을 마셔도 취하고, 한 섬에도 취합니다.”

 

위왕이 말하였다.

 

선생은 한 말을 마시면 취한다면서 어찌 한 섬을 마실 수 있는가? 그 이유를 알려줄 수 있겠는가?”

 

순우곤이 말하였다.

 

대왕님께서 술을 하사하실 때에는 주위에서 법을 집행하는 어사대부와 어사께서 지켜보고 계시니, 저는 두려운 마음에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서 술을 마시므로 마셔도 한 말을 넘기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만약 부모님이나 부친의 손님께서 계신 자리에서는 저는 소매를 걷어 올린 채 몸을 굽히고 꿇어앉아 앞에서 술시중을 듭니다. 때로는 남은 술을 주시는데, 부모님이나 손님의 장수를 기원하며 술잔을 올리느라 몇 차례 일어서다 보면 마셔도 두 말을 넘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만약 친하게 지내던 벗들과 오랫동안 서로 만나지 못하다가 갑자기 만나게 되면, 즐겁고 기쁜 마음에 옛일이나 개인적인 일들을 서로 이야기하다 보면 대략 다섯 말이나 여섯 말을 마셔야 취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마을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남녀가 함께 뒤섞여 앉아 술잔을 돌려가며 마시다 보면, 육박이나 투호를 하며 놀다가 서로에게 이끌려 짝을 이루기도 하고 우연히 손이 부딪치더라도 서로를 탓하지 않으며 눈이 마주쳐도 꺼리지 않습니다. 이처럼 정신없이 놀다 보면 여기저기에 주인을 잃은 귀걸이나 비녀가 떨어져 있기도 합니다. 저는 이러한 분위기를 좋아하는데, 대략 여덟 말을 마셔야 어느 정도 취합니다.

 

날이 저물고 술이 떨어지면 빈 술통을 치운 뒤 남은 술을 모아 자리를 좁히고 남녀가 자리를 같이 하는데, 남녀가 한데 어울려 격의 없이 노닐다 보면 어느새 술자리는 끝나고 술잔과 쟁반만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이 때가 되면 마루 위의 촛불을 끄고 여주인은 저만 남기고 다른 손님들은 모두 배웅합니다. 비단 저고리의 앞섶을 풀어헤치고 옆자리에 앉은 여주인에게서 은은한 향기가 풍겨 오는데, 이때가 되면 저는 기쁜 마음에 한 섬을 거뜬히 마시기도 합니다.

 

이처럼 술을 많이 마실수록 저의 마음과 행동이 어지러워졌습니다.

 

그래서술이 도에 지나치면 마음이나 행동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도에 지나치면 오히려 슬퍼진다라고 합니다.

 

모든 일이 도에 지나치면 이와 같습니다.

 

말 또한 이와 같아서 말이 도에 지나쳐서는 안 되며, 말이 도에 지나치면 곧 어려움에 처하게 됩니다.”

 

순우곤은 술자리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위왕에게 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간한 것이었다.

 

제나라의 왕이 말하였다.

 

좋은 말이오.”

 

이에 날이 새도 창을 가리고 불을 켜놓은 채 며칠이고 계속되던 술자리를 중지하였고, 제후들이 찾아오면 순우곤에게 영접하도록 하였다.

 

또 궁궐 내에서 술자리를 벌일 때에는 항상 순우곤을 곁에 두었다.

 


 

 

 

 

순우곤(淳于)은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 ()나라 사람으로, 해학(諧謔)이 넘치고 풍자(諷刺)가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느 날, 제나라가 초()나라의 공격(攻擊)으로 위기(危機)에 처()하자 제나라의 위왕(威王)은 순우곤을 조()나라에 보내 원군(援軍)을 요청(要請)하였습니다.

 

조나라의 도움으로 초나라가 물러가자, 위왕은 주연(酒筵)을 베풀고 순우곤을 불러 함께 술을 마시다가 그에게 얼마나 마셔야 취()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그러자 순우곤은 주량(酒量)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마지막에술이 도에 지나치면 마음이나 행동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도에 지나치면 오히려 슬퍼진다라는 이야기를 하였는데, 지나치게 술자리를 좋아하는 위왕의 잘못을 깨닫게 해준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위왕은 그 뒤로 밤새도록 술을 마시는 것을 중지(中止)하였고, 술자리가 있을 때마다 항상 순우곤을 곁에 두고 술을 마셨습니다.

 

배반낭자는 순우곤과 위왕의 나눈 이야기 가운데, ‘이석교착(交錯) 배반낭자(杯盤狼藉)’라는 구절(句節)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출전(出典):

- 사기(史記) 열전(列傳) 골계열전(滑稽列傳)

 

※원문(原文):

威王大說,置酒後宮,召賜之酒。問曰:「先生能幾何而醉?」對曰:「臣一斗亦醉,一石亦醉。」威王曰:「先生一斗而醉,惡能一石哉!其說可得聞乎?」曰:「賜酒大王之前,執法在傍,御史在後,恐懼俯伏而,不過一斗徑醉矣。若親有嚴客,帣韝,待酒於前,時賜餘瀝,奉觴上壽,數起,不過二斗徑醉矣。若朋友交遊,久不相見,卒然相睹,歡然道故,私情相語,可五六斗徑醉矣。若乃州閭之會,男女雜坐,行酒稽留,六博投壺,相引曹,握手無罰,目不禁,前有墮珥,后有遺簪,竊樂此,可八斗而醉二參。日暮酒,合尊促坐,男女同席,履交錯,杯盤狼藉,堂上燭滅,主人留而送客,羅襟解,微聞澤,當此之時,心最歡,能一石。故曰酒極則亂,樂極則悲;萬事盡然,言不可極,極之而衰。」以諷諫焉。齊王曰:「善。」乃罷長夜之,以諸侯主客。宗室置酒,嘗在側

 

 

 

 

※원문(原文) / 해석(解釋):

 

中略(중략)

 

威王大說 置酒後宮 召賜之酒.

위왕대열 치주후궁 소곤사지주.

(()나라의) 위왕(威王)이 크게 기뻐하며, 후궁(後宮)에 주연(酒筵)을 베풀고, 순우곤(淳于)을 불러 그에게 술을 하사(下賜)하였다.

 

問曰.

문왈.

물어 말하였다.

(위왕이 순우곤에게 물었다.)

 

先生能幾何而醉.

선생능음기하이취.

“선생(先生)은 얼마를 마셔야 취()할 수 있는가?”

(선생(先生)은 얼마를 마셔야 취()하는가?)

 

對曰.

대왈.

대답(對答)하여 말하였다.

(순우곤이 대답(對答)하였다.)

 

一斗亦醉 一石亦醉.

신음일두역취 일석역취.

“신()은 한 말을 마셔도 취하고, 한 섬에도 취합니다.”

 

威王曰.

위왕왈.

위왕이 말하였다.

 

先生一斗而醉 惡能一石哉.

선생음일두이취 오능음일석재.

“선생은 한 말을 마시면 취하는데, 어찌 한 섬을 마실 수 있는가?

(선생은 한 말을 마시면 취한다면서, 어찌 한 섬을 마실 수 있는가?)

 

其說可得聞乎.

기설가득문호.

그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겠는가?”

(그 이유(理由)를 알려줄 수 있겠는가?)

 

.

곤왈.

순우곤이 말하였다.

 

賜酒大王之前 執法在傍 御史在後,

사주대왕지전 집법재방 어사재후,

“대왕(大王)님의 앞에서 술을 하사하시면, 집법(執法)이 곁에 있고, 어사(御史)가 뒤에 있어서,

(대왕(大王)님께서 술을 하사하실 때에는, 주위(周圍)에서 법()을 집행(執行)하는 어사대부(御史大夫)와 어사(御史)께서 지켜보고 계시니,)

 

恐懼俯伏而 不過一斗徑醉矣.

곤공구부복이음 불과일두경취의.

저는 몹시 두려워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서 마시며, 한 말을 넘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저는 두려운 마음에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서 술을 마시므로, 마셔도 한 말을 넘기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若親有嚴客 帣韝 待酒於前,

약친유엄객 곤권구국기 대주어전,

만약(萬若) 부모(父母)님이나 부친(父親)의 손님이 계시면, 저는 소매를 걷어 올린 채 몸을 굽히고 꿇어앉아, 앞에서 술시중을 드는데,

(만약(萬若) 부모(父母)님이나 부친(父親)의 손님께서 계신 자리에서는, 저는 소매를 걷어 올린 채 몸을 굽히고 꿇어앉아, 앞에서 술시중을 듭니다.)

 

時賜餘瀝 奉觴上壽 數起 不過二斗徑醉矣.

시사여력 봉상상수 수기 음불과이두경취의.

때로는 남은 술을 주시면, ()을 받들고 장수(長壽)를 바라며 잔을 올리며, 몇 차례(次例) 일어서는데, 마시면 두 말을 넘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때로는 남은 술을 주시는데, 부모님이나 손님의 장수(長壽)를 기원(祈願)하며 술잔()을 올리느라 몇 차례(次例) 일어서다 보면, 마셔도 두 말을 넘지 못하고 바로 취합니다.)

 

若朋友交遊 久不相見 卒然相睹,

약붕우교유 구불상견 졸연상도,

만약 벗이 서로 사귀어 왕래(往來)하는데, 오랫동안 서로 보지 못하다가, 갑자기 서로 보면,

(만약 친()하게 지내던 벗들과, 오랫동안 서로 만나지 못하다가, 갑자기 만나게 되면,)

 

歡然道故 私情相語 可五六斗徑醉矣.

환연도고 사정상어 음가오륙두경취의.

즐겁고 기뻐서 옛일을 이야기하고, 사사(私私)로운 정()에 서로 이야기하는데, 대략(大略) 다섯이나 여섯 말을 마셔야 바로 취합니다.

(즐겁고 기쁜 마음에 옛일이나 개인적(個人的)인 일들을 서로 이야기하다 보면, 대략(大略) 다섯 말이나 여섯 말을 마셔야 취할 수 있습니다.)

 

若乃州閭之會 男女雜坐 行酒稽留,

약내주려지회 남녀잡좌 행주계류,

만약 마을의 모임에, 남녀(男女)가 뒤섞여 앉아, 술잔을 돌리며 머무르면,

(만약 마을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남녀(男女)가 함께 뒤섞여 앉아, 술잔을 돌려가며 마시다 보면,)

 

六博投壺 相引 握手無罰 目不禁,

육박투호 상인위조 악수무벌 목이불금,

육박(六博)이나 투호(投壺)를 하고, 서로 이끌려 무리를 이루고, 손을 잡아도 벌()하지 않고, 눈이 빤히 쳐다보는데 꺼리지 않으며,

(육박(六博)이나 투호(投壺)를 하며 놀다가, 서로에게 이끌려 짝을 이루기도 하고, 우연(偶然)히 손이 부딪치더라도 서로를 탓하지 않으며, 눈이 마주쳐도 꺼리지 않는데,)

 

前有墮珥 后有遺簪,

전유타이 후유유잠,

앞은 떨어진 귀걸이가 있고, 뒤는 잃어버린 비녀가 있는데,

(정신(精神)없이 놀다 보면, 여기저기에 주인(主人)을 잃은 귀걸이나 비녀가 떨어져 있기도 합니다.)

 

竊樂此 可八斗而醉二參.

곤절요차 음가팔두이취이삼.

저는 마음속으로 이것을 좋아하며, 마시면 대략 여덟 말을 마시지만 둘이나 셋은 취합니다.

(저는 이러한 분위기(雰圍氣)를 좋아하는데, 대략 여덟 말을 마시면 2()이나 3할 정도(程度) 취합니다.)

(저는 이러한 분위기(雰圍氣)를 좋아하는데, 대략 여덟 말을 마셔야 어느 정도(程度) 취합니다.)

 

日暮酒 合尊促坐男女同席,

일모주란 합준촉좌 남녀동석,

날이 저물고 술이 다하면, 술통을 모으고 자리를 좁혀, 남녀가 자리를 같이 하는데,

(날이 저물고 술이 떨어지면, 빈 술통을 치운 뒤 남은 술을 모아 자리를 좁히고, 남녀가 자리를 같이 하는데,)

 

交錯 杯盤狼藉.

리석교착 배반낭자.

신발은 이리저리 엇갈려 뒤섞이고, 술잔과 쟁반(錚盤)은 난잡(亂雜)하게 어질러집니다.

(남녀가 한데 어울려 격의(隔意) 없이 노닐다 보면, 어느새 술자리는 끝나고 술잔과 쟁반(錚盤)만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습니다.)

 

堂上燭滅 主人留而送客.

당상촉멸 주인류곤이송객.

마루 위의 촛불이 꺼지고, 주인(主人)은 저를 머무르게 하고 손님을 보냅니다.

(이 때가 되면 마루 위의 촛불을 끄고, 여주인(女主人)은 저만 남기고 다른 손님들은 모두 배웅합니다.)

 

襟解 微聞,

라유금해 미문향택,

비단 저고리의 앞섶이 풀어져, 향기(香氣)의 자취를 어렴풋하게 맡습니다.

(비단 저고리의 앞섶을 풀어헤치고 옆자리에 앉은 여주인에게서, 은은(隱隱)한 향기(香氣)가 풍겨 오는데,)

 

當此之時 心最歡一石.

당차지시 곤심최환 능음일석.

이때가 되면, 저는 마음이 가장 기쁘고, 한 섬을 마실 수 있습니다.

(이때가 되면, 저는 기쁜 마음에 한 섬을 거뜬히 마시기도 합니다.)

 

故曰酒極則亂 樂極則悲.

고왈주극즉란 낙극즉비.

그러므로 술이 지나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지나치면 슬퍼진다.’라고 합니다.

(이처럼 술을 많이 마실수록 저의 마음과 행동(行動)이 어지러워졌습니다. 그래서 술이 도()에 지나치면 마음이나 행동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도에 지나치면 오히려 슬퍼진다라고 합니다.)

 

萬事盡然.

만사진연.

모든 일이 극치(極致)에 달()하면 그러합니다.

(모든 일이 도에 지나치면 이와 같습니다.)

 

言不可極 極之而衰.

언불가극 극지이쇠.

말은 극()에 달해서는 안 되며, 극에 달하면 쇠()합니다.”

(말 또한 이와 같아서 말이 도에 지나쳐서는 안 되며, 말이 도에 지나치면 곧 어려움에 처()하게 됩니다.)

 

以諷諫焉.

이풍간언.

돌려서 말함으로써 간언(諫言)하였다.

(순우곤은 술자리를 지나치게 좋아하는 위왕에게 완곡(婉曲)한 표현(表現)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간()한 것이었다.)

 

齊王曰.

제왕왈.

제나라의 왕이 말하였다.

 

.

.

“좋소.”

(좋은 말이오.)

 

乃罷長夜之諸侯主客.

내파장야지음 이곤위제후주객.

이에 장야지음(長夜之)을 그만두었고, 순우곤을 제후(諸侯)의 주객(主客)으로 삼았다.

(이에 날이 새도 창()을 가리고 불을 켜놓은 채 며칠이고 계속(繼續)되던 술자리를 중지(中止)하였고, 제후(諸侯)들이 찾아오면 순우곤에게 영접(迎接)하도록 하였다.)

 

宗室置酒 嘗在側.

종실치주 곤상재측.

종실(宗室)이 술자리를 벌이면, 순우곤이 옆에서 맛보았다.

(또 궁궐(宮闕) 내에서 술자리를 벌일 때에는, 항상(恒常) 순우곤을 곁에 두었다.)

 

※유의어(類義語):

- 籌交錯(굉주교착)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