漁夫之利.
어부지리.
어부(漁夫)의 이익(利益)/이득(利得).
1) 두 사람이 다투는 틈을 타 엉뚱한 제삼자(第三者)가 이익(利益)을 가로챈다는 뜻.
*第三者(제삼자): 일에 직접적(直接的)인 관계(關係)가 없는 사람.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중에서……)
조(趙)나라가 장차 연(燕)나라를 정벌하려 하자, 소대(蘇代)가 연나라의 왕을 위하여 조나라의 혜왕(惠王)을 찾아가 말하였다.
“이번에 신이 조나라에 오면서 역수를 지나다가 기이한 일을 보았습니다.
조개가 한창 입을 벌린 채 살을 드러내고 햇볕을 쬐고 있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부리로 쪼았고, 깜짝 놀란 조개는 급히 입을 다물며 도요새의 부리를 물었습니다.
그러자 도요새가 말하였습니다.
‘내가 계속 이렇게 버티면 너는 곧 저 뜨거운 햇볕에 바싹 말라서 죽을 것이다.’
조개도 도요새에게 말하였습니다.
‘내가 입을 벌리지 않고 이렇게 버틴다면 너는 곧 지쳐서 죽을 것이다.’
조개와 도요새는 서로 맞서며 조금도 양보하지 않았고, 지나가던 어부가 이를 보고 조개와 도요새를 모두 잡아갔습니다.
지금 조나라가 연나라를 정벌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나라와 조나라가 조개와 도요새처럼 서로 맞서며 조금도 양보하려 하지 않는다면, 두 나라의 많은 백성들이 피폐해 질 것입니다.
신은 이를 틈타 저 강대한 진(秦)나라가 물고기를 잡는 어부처럼 손쉽게 이득을 취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그러므로 왕께서는 이것을 깊이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혜왕이 말하였다.
“잘 알겠소.”
혜왕은 연나라를 정벌하려던 계획을 바로 중지하였다.
소대(蘇代)는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합종설(合縱說)을 주장했던 소진(蘇秦)의 아우로, 형(兄)인 소진 못지않은 뛰어난 사람이었습니다.
어느 날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공격(攻擊)하려 하자, 소대는 조나라의 혜왕(惠王)을 찾아가 조개와 도요새의 다툼에 지나가던 어부(漁父)가 이익(利益)을 얻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조개와 도요새를 연나라와 조나라에 비유(比喩)하여, 두 나라가 전쟁(戰爭)을 하면 진(秦)나라에게 이(利)로울 뿐이라는 것을 비유한 것으로, 이 이야기를 들은 혜왕은 연나라를 공격하려던 계획(計劃)을 바로 중지(中止)하였습니다.
어부지리(漁父之利)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에는 다음과 같이 실려 있습니다.
※출전(出典):
-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연이(燕二) 조차벌연(趙且伐燕)
※원문(原文):
趙且伐燕,蘇代為燕王謂惠王曰:「今者臣來,過易水,蚌方出曝,而鷸啄其肉,蚌合而鉗其喙。鷸曰:『今日不雨,明日不雨,即有死蚌。』蚌亦謂鷸曰:『今日不出,明日不出,即有死鷸。』兩者不肯舍,漁者得而并禽之。今趙且伐燕,燕、趙久相支,以弊大眾,臣恐強秦之為漁漁父也。故愿王之熟計之也。」惠王曰:「善。」乃止。
※원문(原文) / 해석(解釋):
趙且伐燕 蘇代爲燕王謂惠王曰.
조차벌연 소대위연왕위혜왕왈.
조(趙)나라가 장차(將次) 연(燕)나라를 정벌(征伐)하려 하자, 소대(蘇代)가 연나라의 왕(王)을 위(爲)하여 혜왕(惠王)에게 말하였다.
(조(趙)나라가 장차(將次) 연(燕)나라를 정벌(征伐)하려 하자, 소대(蘇代)가 연나라의 왕(王)을 위(爲)하여 조나라의 혜왕(惠王)을 찾아가 말하였다.)
今者臣來 過易水.
금자신래 과역수.
“요사이 신(臣)이 오면서, 역수(易水)를 지났습니다.
(이번(番)에 신이 조나라에 오면서 역수(易水)를 지나다가 기이(奇異)한 일을 보았습니다.)
蚌方出曝 而鷸啄其肉 蚌合而鉗其喙.
방방출폭 이휼탁기육 방합이겸기훼.
조개가 한창 드러내고 햇볕을 쬐는데, 도요새가 그의 살을 부리로 쪼았고, 조개는 다물며 도요새의 부리를 집었습니다.
(조개가 한창 입을 벌린 채 살을 드러내고 햇볕을 쬐고 있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부리로 쪼았고, 깜짝 놀란 조개는 급히 입을 다물며 도요새의 부리를 물었습니다.)
鷸曰.
휼왈.
도요새가 말하였습니다.
(그러자 도요새가 말하였습니다.)
今日不雨 明日不雨 即有死蚌.
금일불우 명일불우 즉유사방.
‘오늘 비가 내리지 않고, 내일도 비가 내리지 않는다면, 곧 죽은 조개가 생기리라.’
(내가 계속(繼續) 이렇게 버티면, 너는 곧 저 뜨거운 햇볕에 바싹 말라서 죽을 것이다.)
蚌亦謂鷸曰.
방역위휼왈.
조개도 도요새에게 말하였습니다.
今日不出 明日不出 即有死鷸.
금일불출 명일불출 즉유사휼.
‘오늘 드러내지 않고, 내일 드러내지 않는다면, 곧 죽은 도요새가 생기리라.’
(내가 입을 벌리지 않고 이렇게 버틴다면, 너는 곧 지쳐서 죽을 것이다.)
兩者不肯舍 漁者得而并禽之.
양자불긍사 어자득이병금지.
양자(兩者)는 들어주거나 포기(抛棄)하지 않았고, 물고기를 잡는 사람이 도달(到達)하여 전부(全部) 사로잡습니다.
(조개와 도요새는 서로 맞서며 조금도 양보(讓步)하지 않았고, 지나가던 어부(漁父)가 이를 보고 조개와 도요새를 모두 잡아갔습니다.)
今趙且伐燕 燕趙久相支 以弊大眾,
금조차벌연 연조구상지 이폐대중,
지금(只今) 조나라가 장차 연나라를 정벌하려 하는데, 연나라와 조나라가 오랫동안 서로 버티어, 많은 백성(百姓)이 피폐(疲弊)하면,
(지금(只今) 조나라가 연나라를 정벌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연나라와 조나라가 조개와 도요새처럼 서로 맞서며 조금도 양보하려 하지 않는다면, 두 나라의 많은 백성(百姓)들이 피폐(疲弊)해 질 것입니다.)
臣恐強秦之爲漁漁父也.
신공강진지위어어부야.
신은 강(强)한 진나라가 물고기를 잡는 어부가 되는 것이 두렵습니다.)
(신은 이를 틈타 저 강대(强大)한 진(秦)나라가 물고기를 잡는 어부처럼 손쉽게 이득(利得)을 취(取)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故愿王之熟計之也.
고원왕지숙계지야.
그러므로 왕께서 이것을 숙계(熟計)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러므로 왕께서는 이것을 깊이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惠王曰.
혜왕왈.
혜왕이 말하였다.
善.
선.
“좋소.”
(잘 알겠소.)
乃止.
내지.
곧 그만두었다.
(혜왕은 연나라를 정벌하려던 계획(計劃)을 바로 중지(中止)하였다.)
※유의어(類義語):
- 견토지쟁(犬兎之爭)
- 방휼지쟁(蚌鷸之爭)
- 어부지리(漁父之利)
- 전부지공(田夫之功)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貪天之功(탐천지공) - 다른 사람의 공을 자기의 힘으로 이룬 척하다. (0) | 2019.03.21 |
---|---|
漸入佳境(점입가경) – 경치, 문장, 상황 등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가 됨을 비유하는 말. (1) | 2019.03.20 |
駟不及舌(사불급설) – 소문은 빨리 퍼지므로 항상 말을 조심해야 한다. (0) | 2019.03.18 |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자리가 끝난 뒤의 어지러운 모양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7 |
亡羊補牢(망양보뢰) –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