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家食西家宿.
동가식서가숙.
동(東)쪽의 집에서 밥을 먹고, 서(西)쪽의 집에서 숙박(宿泊)하다. 동(東)쪽의 집에서는 밥만 먹고, 서(西)쪽의 집에서 잠을 자고 머무르다.
1) 일정(一定)한 거처(居處)가 없이 떠돌며 지냄을 비유(比喩)하는 말.
2) 이익(利益)에 따라 여기저기 빌붙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3) 욕심(欲心)이 지나치게 많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태평어람(太平御覽) 중에서……)
제(齊)나라에 어떤 여자가 있었는데, 두 집안에서 그 여자에게 청혼을 하였다.
그 여자의 가족들은 그 여자의 마음이 궁금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네가 만약 동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하고 싶다면 왼쪽 소매를 걷어 올리고, 서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하고 싶다면 오른쪽 소매를 걷어 올리거라.”
그 여자는 양쪽 소매를 걷어 올렸다.
부모가 그 까닭을 묻자 그 여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동쪽의 집에서는 밥만 먹고, 서쪽의 집에서 살고 싶어요.”
동쪽에 사는 남자는 집안이 부유하였으나 못생겼고, 서쪽에 사는 남자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잘생겼기 때문이었다.
결혼(結婚)할 때가 된 여자(女子)에게 두 집안에서 청혼(請婚)을 하였습니다.
청혼을 한 두 집안 중(中), 동(東)쪽의 남편(男便)감은 집안이 부유(富裕)였으나 못생겼고, 서(西)쪽의 남편감은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용모(容貌)가 아름다웠습니다.
누구에게 시(媤)집보내야 할지 고민(苦悶)하던 부모(父母)는 딸에게 직접(直接) 남편이 될 사람을 선택(選擇)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네가 만약(萬若) 동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結婚)하고 싶다면 왼쪽 소매를 걷어 올리고, 서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하고 싶다면 오른쪽 소매를 걷어 올리거라.”
그러자 딸은 양(兩)쪽 소매를 모두 걷어 올리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愿東家食而西家息.
원동가식이서가식.
“동쪽의 집안은 밥을 먹고, 서쪽의 집안은 생활(生活)하고 싶어요.”
(동쪽의 집에서는 밥만 먹고, 서쪽의 집에서 살고 싶어요.)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은 이 여자의 말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원래(元來)는 ‘욕심(欲心)이 지나치게 많음’을 비유(比喩)한 말이었으나, 요즘은 ‘일정(一定)한 거처(居處)가 없이 떠돌며 지냄’을 비유하여 많이 사용(使用)되고 있습니다.
태평어람(太平御覽) 인사부이십삼(人事部二十三) 추장부(醜丈夫)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습니다.
※출전(出典):
- 태평어람(太平御覽) 인사부이십삼(人事部二十三) 추장부(醜丈夫)
※원문(原文):
《風俗通》曰:齊有一女,二家求之。其家語其女曰:「汝欲東家則左袒,欲西則右袒。」其女兩袒。父母問其故,對曰:「愿東家食而西家息。」以東家富而醜,西家貧而美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齊有一女 二家求之.
제유일녀 이가구지.
제(齊)나라에 어떤 여자(女子)가 있었는데, 두 집안이 그 여자를 바랐다.
(제(齊)나라에 어떤 여자(女子)가 있었는데, 두 집안에서 그 여자에게 청혼(請婚)을 하였다.)
其家語其女曰.
기가어기녀왈.
그의 가족(家族)이 그 여자와 논의(論議)하며 말하였다.
(그 여자의 가족(家族)들은 그 여자의 마음이 궁금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汝欲東家則左袒 欲西則右袒.
여욕동가즉좌단 욕서즉우단.
“네가 동(東)쪽 집안을 바란다면 왼쪽 소매를 걷어 올리고, 서(西)쪽을 바란다면 오른쪽 소매를 걷어 올려라.”
(네가 만약(萬若) 동(東)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結婚)하고 싶다면 왼쪽 소매를 걷어 올리고, 서(西)쪽 집안의 사람과 결혼하고 싶다면 오른쪽 소매를 걷어 올리거라.)
其女兩袒.
기녀양단.
그 여자는 양(兩)쪽 소매를 걷어 올렸다.
父母問其故 對曰.
부모문기고 대왈.
부모(父母)가 그 까닭을 묻자, 대답(對答)하여 말하다.
(부모(父母)가 그 까닭을 묻자, 그 여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對答)하였다.)
愿東家食而西家息.
원동가식이서가식.
“동쪽의 집안은 밥을 먹고, 서쪽의 집안은 생활(生活)하고 싶어요.”
(동쪽의 집에서는 밥만 먹고, 서쪽의 집에서 살고 싶어요.)
以東家富而醜 西家貧而美也.
이동가부이추 서가빈이미야.
동쪽의 집안은 부유(富裕)하지만 못생겼고, 서쪽의 집안은 가난하지만 아름다웠다.
(동쪽에 사는 남자(男子)는 집안이 부유(富裕)하였으나 못생겼고, 서쪽에 사는 남자는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잘생겼기 때문이었다.)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자리가 끝난 뒤의 어지러운 모양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7 |
---|---|
亡羊補牢(망양보뢰) –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6 |
樂不思蜀(낙불사촉) – 눈앞의 쾌락이나 향락에 빠져 자기의 본분을 잊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4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라도 의롭지 못한 일은 해서는 안 됨을 비유하는 말. (0) | 2019.03.13 |
夏爐冬扇(하로동선) – 아무런 쓸모나 득이 될 것이 없는 재주.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