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楚人遺弓楚人得之(초인유궁초인득지) – 도량 또는 소견이 좁음을 비유하는 말.


楚人遺弓楚人得之.

초인유궁초인득지.

()나라 사람이 활을 잃어버리고, 초나라 사람이 그것을 줍다. ()나라 사람이 잃어버린 활을 초나라 사람이 줍다.

1) 도량(度量) 또는 소견(所見)이 좁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度量(도량): 너그러운 마음과 깊은 생각. 사물(事物)을 너그럽게 용납(容納)하여 처리(處理)할 수 있는 넓은 마음과 깊은 생각. 배포(排布). 아량(雅量).

所見(소견): 보는 바. 생각. 어떤 일이나 사물(事物)을 살펴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意見).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 중에서……)

 

()나라 공왕(共王)이 사냥을 나갔다가 그의 활을 잃어버렸다.

 

신하들이 활을 찾아오겠다며 공왕에게 허락을 구하자, 공왕이 말하였다.

 

그만두어라,

 

초나라 사람이 잃어버린 활이니 어차피 초나라 사람이 주울 텐데,

 

무엇 때문에 찾으려 하는가?”

 

공자(孔子)가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애석하도다! 그는 대범하지 못하구나.”

 

또 말하였다.

 

“사람이 잃어버린 활을 사람이 줍는 것일 뿐인데,

 

구태여 초나라라고 말할 필요가 있었는가?”

 

공자야말로 세상에서 흔히 말하는 대공, 즉 큰 인물이었다.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때의 일입니다.

 

()나라의 공왕(共王)이 신하(臣下)들과 함께 사냥을 나갔다가 귀()한 활을 잃어버렸습니다. 신하들이 사냥터로 되돌아가 잃어버린 활을 찾아오려 하자, 공왕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습니다.

 

그만두어라, 초나라 사람이 잃어버린 활이니, 어차피 초나라 사람이 주울 텐데, 무엇 때문에 찾으려 하는가?”

 

신하들은 이 말을 듣고 공왕은 도량(度量)이 넓다라며 칭송(稱頌)하였습니다.

 

그러나 후일(後日) 이 말을 전()해들은 공자(孔子)는 공왕의 신하들과는 다르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애석(哀惜)하도다! 그는 대범((大汎)하지 못하구나. 사람이 잃어버린 활을 사람이 줍는 것일 뿐인데, 구태여 초나라라고 말할 필요(必要)가 있었는가?”

 

공자는 크게 생각하여사람이 잃어버린 활이니, 사람이 주울 것이다라고 말하지 않고, 초나라로 한정(限定)하여 말한 것은 공왕의 도량이 좁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초인유궁초인득지(楚人遺弓楚人得之)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과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편(好生篇)에서 위의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편(好生篇)

- 공총자(孔叢子)

 

※원문(原文):

-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

 

楚共王出獵而遺其弓,左右請求之,共王曰:「止,楚人遺弓,楚人得之,又何求焉?」仲尼聞之,曰:「惜乎其不大,亦曰:『人遺弓,人得之而已,何必楚也!』」仲尼所謂大公也。

 

※원문(原文) / 해석(解釋):

 

설원(說苑) 지공편(至公篇)

 

楚共王出獵而遺其弓.

초공왕출렵이유기궁.

()나라 공왕(共王)이 사냥을 나갔다가 그의 활을 잃어버렸다.

 

左右請求之 共王曰.

좌우청구지 공왕왈.

측근(側近)이 그것을 찾겠다고 청()하니, 공왕이 말하였다.

(신하(臣下)들이 활을 찾아오겠다며 공왕에게 허락(許諾)을 구()하자, 공왕이 말하였다.)

 

. 楚人遺弓 楚人得之 又何求焉.

. 초인유궁 초인득지 우하구언.

그만두어라, 초나라 사람이 잃어버린 활, 초나라 사람이 그것을 손에 넣겠지, 또 무엇 때문에 찾는가?”

(그만두어라, 초나라 사람이 잃어버린 활이니, 어차피(於此彼) 초나라 사람이 주울 텐데, 무엇 때문에 찾으려 하는가?)

 

仲尼聞之曰.

중니문지왈.

공자(孔子)가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惜乎其不大.

석호기부대.

“애석(哀惜)하도다! 그는 대범((大汎)하지 못하구나.”

 

亦曰.

역왈.

또 말하였다.

 

人遺弓 人得之而已 何必楚也.

인유궁 인득지이이 하필초야.

사람이 잃어버린 활, 사람이 그것을 손에 넣는 것뿐인데, 하필(何必) 초나라인가?”

(사람이 잃어버린 활을, 사람이 줍는 것일 뿐인데, 구태여 초나라라고 말할 필요(必要)가 있었는가?)

 

仲尼所謂大公也.

중니소위대공야.

공자는 이른바 대공(大公)이었다.

(공자야말로 세상(世上)에서 흔히 말하는 대공(大公), () 큰 인물(人物)이었다.)

 

====================

 

공자가어(孔子家語) 호생편(好生篇)

 

楚恭王出遊 亡烏之弓 左右請求之.

초공왕출유 망오호지궁 좌우청구지.

초나라 공왕이 유람(遊覽)을 나가서, 오호지궁(之弓)을 잃어버리자, 신하가 활을 찾겠다고 청()하였다.

 

王曰.

왕왈.

왕이 말하였다.

 

. 楚王失弓 楚人得之 又何求之.

. 초왕실궁 초인득지 우하구지.

그만 두어라. 초나라 왕()이 잃어버린 활, 초나라 사람이 손에 넣겠지, 또 무엇 때문에 찾는가?”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