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4) 鑒明者(감명자) 塵埃不能汚(진애불능오) 神淸者(신청자) 嗜欲豈能膠(기욕기능교): 거울이 맑으면 티끌도 거울을 더럽힐 수 없는데, 정신이 맑으면 향..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4)

 

 

老子曰:「鑒明者,塵埃不能;神者,嗜欲豈能膠?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거울이 맑으면 티끌도 거울을 더럽힐 수 없는데,

 

정신이 맑으면 향락적인 욕구가 어찌 정신을 어지럽힐 수 있겠는가?”

 

 

 

 

노자(老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도가사상의 시조입니다. 본명은 이이(李耳)이며 자는 담(), 호는 백양(伯陽)이라고 합니다. 노담(老聃)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불립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4)

 

老子曰.

노자왈.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鑒明者 塵埃不能汚,

감명자 진애불능오,

“거울이 깨끗하면, 티끌이 더럽힐 수 없는데,

(거울이 맑으면, 티끌도 거울을 더럽힐 수 없는데,)

 

神淸者 嗜欲豈能膠?

신청자 기욕기능교?

정신(精神)이 맑으면, 향락적(享樂的)인 욕구(欲求)가 어찌 달라붙을 수 있겠는가?”

(정신(精神)이 맑으면, 향락적(享樂的)인 욕구(欲求)가 어찌 정신을 어지럽힐 수 있겠는가?)

 

 

※出典(출전):

- 문자(文子) 구수(九守) (守淸)

 

※原文(원문):

老子曰:人受氣於天者,耳目之於聲色也,鼻口之於芳臭也,肌膚之於寒溫也,其情一也,或以死,或以生,或君子,或小人,所以制者異。神者智之淵也,神則智明,智者心之府也,智公則心平,人莫鑒於流而鑒於澄水,以其且靜也,故神意平乃能形物之情,故用之者必假於不用也。夫鑒明者則塵垢不也,神者嗜欲不誤也,故心有所至,則神慨然在之,反之於虛,則消躁藏息矣,此聖人之遊。故治天下者,必達性命之情而後可也。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