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5)
《書》云:「不矜細行,終累大德。」
서경(書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사소한 일이라도 신중히 하지 않으면,
결국에는 큰 덕을 더럽힐 수 있다.”
서경(書經)은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서(書) 또는 상서(尙書)라고도 합니다. 중국 상고시대의 정치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正己篇(정기편) (105)
書云.
서운.
서경(書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不矜細行 終累大德.
불긍세행 종루대덕.
“작은 일을 신중(愼重)히 하지 않으면, 결국(結局) 큰 덕(德)을 더럽힌다.”
(사소(些少)한 일이라도 신중(愼重)히 하지 않으면, 결국(結局)에는 큰 덕(德)을 더럽힐 수 있다.)
※出典(출전):
- 서경(書經) 주서(周書) 여오(旅獒)
※原文(원문):
曰:「嗚呼!明王慎德,四夷咸賓。無有遠邇,畢獻方物,惟服食器用。王乃昭德之致于異姓之邦,無替厥服;分寶玉于伯叔之國,時庸展親。人不易物,惟德其物!德盛不狎侮。狎侮君子,罔以盡人心;狎侮小人,罔以盡其力。不役耳目,百度惟貞。玩人喪德,玩物喪志。志以道寧,言以道接。不作無益害有益,功乃成;不貴異物賤用物,民乃足。犬馬非其土性不畜,珍禽奇獸不育于國,不寶遠物,則遠人格;所寶惟賢,則邇人安。嗚呼!夙夜罔或不勤,不矜細行,終累大德。為山九仞,功虧一簣。允迪茲,生民保厥居,惟乃世王。」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