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1)
荀子曰:「自知者不怨人,知命者不怨天。怨人者窮,怨天者無志。失之己,反之人,豈不迂乎哉!」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자기의 능력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일을 해결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며,
하늘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아무런 의지가 없는 사람이다.
자기의 부족함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순자(荀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로, 본명은 순황(荀況)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51B345CBF386105)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1)
荀子曰.
순자왈.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荀(순): 성(姓)의 하나.
子(자): 남자(男子). 남자(男子)에 대(對)한 미칭(美稱). 옛날, 학문(學問)과 덕행(德行) 또는 지위(地位)이 높은 남자(男子)를 가리키는 말.
荀子(순자): [인명(人名)]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유교(儒敎) 사상가(思想家)로, 본명(本名)은 순황(荀況).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主張)함.
*性善說(성선설):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선(善)하지만, 주위(周圍) 환경(環境)이나 욕심(欲心)의 영향(影響)으로 악(惡)하게 된다는 학설(學說). 맹자(孟子)가 주장(主張)함.
*性惡說(성악설):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은 악(惡)하므로, 학습(學習)을 통(通)하여 선(善)한 행위(行爲)를 습득(習得)해야 한다는 학설(學說). 순자(荀子)가 주장(主張)함.
曰(왈): 가로다. 말하다. 이르다. ~라 하다. 가로되 ~라고 하다.
自知者不怨人 知命者不怨天.
자지자불원인 지명자불원천.
“자기(自己)를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自(자): 몸소. 손수. 스스로. 자발적(自發的)으로. 직접(直接). 친(親)히. [동작(動作)이 자발적(自發的)으로 자신(自身)에게서 나왔음을 나타냄.]
知(지): 알다. 깨닫다. 이해(理解)하다.
自知(자지): 자기(自己)를 앎.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역량(力量)/재능(才能)을 스스로 앎.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역량(力量)/재능(才能)을 자기가 앎.
者(자): 것. 사람. 자(者). 동사(動詞)/동사구(動詞句)/형용사(形容詞)/형용사구(形容詞句) 뒤에 쓰여 그러한 성질(性質)을 가지고 있거나 동작(動作)을 하는 사람 또는 사물(事物)을 나타냄.
不(불): 아니하다.
怨(원): 탓하다. 원망(怨望)하다. 원망(怨望)스럽다. 원망(怨望)스럽게 생각하다.
人(인): 남. 다른 사람. 타인(他人).
命(명): ❶하늘의 뜻. 천명(天命). ❷운(運). 운명(運命). 운수(運數).
知命(지명): 하늘의 뜻을 앎. 타고난 운명(運命)을 앎. 천명(天命)을 앎. 천지자연(天地自然)의 법칙(法則)을 앎.
天(천): 하늘. 하느님. 조물주(造物主). 상제(上帝). 천제(天帝).
怨人者窮 怨天者無志.
원인자궁 원천자무지.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사람은 궁(窮)하고, 하늘을 원망하는 사람은 의지(意志)가 없다.
(다른 사람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일을 해결(解決)할 능력이 부족(不足)한 사람이며, 하늘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아무런 의지(意志)가 없는 사람이다.)
窮(궁): ❶다하다. 마치다. 막다르다. 끝나다. 끝장나다. 궁진(窮盡)하다. 중단(中斷)하다. ❷가난하다. 어렵다. 구차(苟且)하다. 궁(窮)하다. 빈곤(貧困)하다. ❸몰리다. 궁(窮)하다. 막다른 지경(地境)에 처(處)하다. 환경(環境)이 나쁘다. 활로(活路)가 없다.
無(무): 없다.
志(지): 마음. 뜻. 목표(目標). 소망(所望). 의지(意志).
失之己 反之人 豈不迂乎哉!
실지기 반지인 기불우호재!
잘못한 것은 자기인데, 꾸짖는 것은 다른 사람이라면, 어찌 잘못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자기가 잘못하고 다른 사람을 꾸짖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자기의 부족함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失(실): 그르치다. 잘못하다. 실수(失手)하다.
之(지): ~가. ~이. ~의. [주어(主語)와 술어(述語) 사이에 쓰여 수식(修飾) 관계(關係)를 나타냄.]
己(기): 자기(自己). 자신(自身). 자아(自我).
反(반): 나무라다. 꾸짖다.
豈(기): 어찌. 어찌하여. 어떻게. 어찌/어찌하여 ~하겠는가? 어떻게 ~란 말인가? 그래 ~이란 말인가? [반문(反問)의 어기(語氣)를 나타냄.]
不(불): 아니다. 비(非)의 뜻.
迂(우): 잘못하다. 실수(失手)하다.
乎(호): 문장(文章)의 끝에 쓰여 의문(疑問)이나 반문(反問)의 어기(語氣)를 나타냄.
哉(재): 아! ~하도다! ~하구나! [놀람/분노(憤怒)/찬양(讚揚)과 같은 감탄(感歎)을 나타냄.]
乎哉(호재): 감탄(感歎)이나 반문(反問)의 어기(語氣)를 나타냄.
*豈不亦迂哉(기불역우재) -> 豈不迂乎哉(기불우호재): 제가 가지고 있는 명심보감(明心寶鑑)에는 기불역우재(豈不亦迂哉)로 기록(記錄)되어 있으나, 원문(原文)인 순자(荀子) 영욕편(榮辱篇)에는 기불우호재(豈不迂乎哉)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出典(출전):
- 순자(荀子) 영욕편(榮辱篇)
※原文(원문):
鯈䱁者,浮陽之魚也,胠於沙而思水,則無逮矣。挂於患而欲謹,則無益矣。自知者不怨人,知命者不怨天;怨人者窮,怨天者無志。失之己,反之人,豈不迂乎哉!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