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1) 自知者不怨人(자지자불원인) 知命者不怨天(지명자불원천): 자기의 능력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1)

 

 

荀子曰:「自知者不怨人,知命者不怨天。怨人者窮,怨天者無志。失之己,反之人,豈不迂乎哉!」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자기의 능력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일을 해결할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며,

 

하늘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아무런 의지가 없는 사람이다.

 

자기의 부족함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순자(荀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 사상가로, 본명은 순황(荀況)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1)

 

荀子曰.

순자왈.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自知者不怨人 知命者不怨天.

자지자불원인 지명자불원천.

자기(自己)를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자기(自己)의 능력(能力)을 스스로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怨望)하지 않으며, 하늘의 뜻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怨人者窮 怨天者無志.

원인자궁 원천자무지.

다른 사람을 원망하는 사람은 궁()하고, 하늘을 원망하는 사람은 의지(意志)가 없다.

(다른 사람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일을 해결(解決)할 능력이 부족(不足)한 사람이며, 하늘을 원망하기만 하는 사람은 아무런 의지(意志)가 없는 사람이다.)

 

失之己 反之人 豈不迂乎哉!

실지기 반지인 기불우호재!

잘못한 것은 자기인데, 꾸짖는 것은 다른 사람이라면, 어찌 잘못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자기가 잘못하고 다른 사람을 꾸짖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자기의 부족함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 어찌 올바른 일이겠는가!)

 

 

※出典(출전):

- 순자(荀子) 영욕편(榮辱篇)

 

※原文(원문):

鯈䱁者,浮陽之魚也,於沙而思水,則無逮矣。於患而欲謹,則無益矣。自知者不怨人,知命者不怨天;怨人者窮,怨天者無志。失之己,反之人,豈不迂乎哉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