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0)
老子曰:「知其榮,守其辱。」
도덕경(道德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더라도 어려웠던 시절을 잊지 마라.”
노자(老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도가사상의 시조입니다. 본명은 이이(李耳)이며 자는 담(聃), 호는 백양(伯陽)이라고 합니다. 노담(老聃)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고도 불립니다.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 명심보감 안분편의 글이라는 것을 참고하여 해석하였습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0)
老子曰.
노자왈.
노자(老子)가 말하였다.
도덕경(道德經)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知其榮 守其辱.
지기영 수기욕.
“영화(榮華)를 알고 치욕(恥辱)을 지켜라.”
(영화(榮華)를 알게 되더라도 치욕(恥辱)을 지켜라.)
(부귀영화(富貴榮華)를 누리게 되더라도, 어려웠던 시절(時節)을 잊지 마라.)
※出典(출전):
- 도덕경(道德經)
※原文(원문):
知其雄,守其雌,為天下谿。為天下谿,常德不離,復歸於嬰兒。知其白,守其黑,為天下式。為天下式,常德不忒,復歸於無極。知其榮,守其辱,為天下谷。為天下谷,常德乃足,復歸於樸。樸散則為器,聖人用之,則為官長,故大制不割。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