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8) 富與貴(부여귀) 是人之所欲也(시인지소욕야) 不以其道得之(불이기도득지) 不處也(불처야): 많은 재산과 높은 지위,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8)

 

 

子曰:「富與貴,是人之所欲也。不以其道得之,不處也。貧與賤,是人之所惡也,不以其道得之,不去也。」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많은 재산과 높은 지위,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올바른 방법으로 재산과 지위를 얻은 것이 아니라면 그것을 누리려 해서는 안 된다.

 

 

가난과 천함,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하려다가 가난과 천함을 얻은 것이라면 그것을 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

 

 

 

 

-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8)

 

子曰.

자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재산(財産)과 높은 지위(地位), 이것은 사람이 바라는 것이다.

(많은 재산(財産)과 높은 지위(地位),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다.)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그것의 도리(道理)에 의()해서 그것을 얻은 것이 아니라면, 누려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올바른 방법(方法)으로 재산과 지위를 얻은 것이 아니라면, 그것을 누리려 해서는 안 된다.)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가난과 천(), 이것은 사람이 싫어하는 것인데,

(가난과 천(), 이것은 모든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지만,)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그것의 도리에 의해서 그것을 얻은 것이 아니라면, ()해서는 안 된다.”

(올바른 방법으로 가난과 천함을 얻은 것이 아니라면, 그것을 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

(도리에 어긋난 행동(行動)을 하려다가 가난과 천함을 얻은 것이라면, 그것을 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

 

 

※出典(출전):

-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5

 

※原文(원문):

子曰:「富與貴是人之所欲也,不以其道得之,不處也;貧與賤是人之所惡也,不以其道得之,不去也。君子去仁,惡乎成名?君子無終食之間違仁,造次必於是,沛必於是。」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