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41)
行合道義,不卜自吉。行悖道義,縱卜亦凶。人當自卜,不必卜神。
행실이 도의에 합당하면 점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길하다.
행실이 도의에 어긋나면 설령 점을 보더라도 오직 흉할 뿐이다.
사람이란 스스로 앞일을 내다보아 미리 판단하는 것이 마땅하며,
행실이 도의에 합당하면 신령에게 길흉화복을 판단하기 위해 점괘를 내어 볼 필요가 없다.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1349475BBD37462E)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41)
行合道義 不卜自吉.
행합도의 불복자길.
행실(行實)이 도의(道義)에 합당(合當)하면, 점(占)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길(吉)하다.
行(행): 행실(行實). 행위(行爲). 행동(行動). 거동(擧動). 행동거지(行動擧止). 몸가짐.
合(합): 합당(合當)하다. 적합(適合)하다. 일이나 조건(條件) 따위에 꼭 알맞다.
*合當(합당): 어떤 조건(條件), 기준(基準), 용도(用途), 도리(道理) 따위에 꼭 알맞음.
道(도): 도리(道理). 이치(理致). 도덕(道德). 윤리(倫理).
義(의): 의(義). 정의(正義). 올바른 도리(道理). 의(義)로운 일. 정의(正義)에 합당(合當)한 행동(行動).
道義(도의): 사람이 마땅히 지키고 행(行)하여야 할 도덕적(道德的) 의리(義理). 도덕(道德)과 의리(義理). 도덕(道德)과 정의(正義). 도리(道理). 의(義).
不(불): 아니하다.
卜(복): 점(占)치다. 점(占)을 보다.
自(자): 저절로. 당연(當然)히. 자연(自然)스레. 자연(自然)히.
吉(길): 길(吉)하다. 운(運)이 좋다. 일이 상서(祥瑞)롭다.
行悖道義 縱卜亦凶.
행패도의 종복역흉.
행실이 도의에 어긋나면, 설령(設令) 점을 보더라도 오직 흉(凶)할 뿐이다.
悖(패): 어긋나다. 도리(道理)에 어긋나다. 어그러지다. 벗어나다. 위배(違背)되다.
縱(종): 설령(設令)/설사(設使) ~일지라도.
亦(역): 다만. 오로지. 오직. 단지(但只). 다만/오로지/오직/단지(但只) ~뿐.
凶(흉): 좋지 않다. 불길(不吉)하다. 불행(不幸)하다. 흉(凶)하다.
*흉(凶)하다: 운(運)이 사납거나 불길(不吉)하다.
人當自卜 不必卜神.
인당자복 불필복신.
사람은 스스로 점치는 것이 마땅하며, 신령(神靈)에게 점칠 필요(必要)가 없다.
(사람이란 스스로 앞일을 내다보아 미리 판단(判斷)하는 것이 마땅하며, 행실이 도의에 합당하면 신령(神靈)에게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判斷)하기 위해 점괘(占卦)를 내어 볼 필요(必要)가 없다.)
人(인): 사람. 인간(人間).
當(당): 마땅히/반드시/당연(當然)히 ~해야 한다. ~하는 것이 마땅하다.
自(자): 몸소. 손수. 스스로. 자발적(自發的)으로. 직접(直接). 친(親)히. [동작(動作)이 자발적(自發的)으로 자신(自身)에게서 나왔음을 나타냄.]
*점(占)치다: ❶앞일을 내다보아 미리 판단(判斷)하다. ❷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判斷)하기 위해 점괘(占卦)를 내어 보다.
*占卦(점괘): 점(占)을 쳐서 나오는 괘(卦). 이 괘를 풀이하여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판단(判斷)함.
必(필): 반드시 ~해야 한다. 꼭 ~해야 한다. ~할 필요(必要)가 있다.
不必(불필): ~할 필요(必要)가 없음. ~할 것까지는 없음.
神(신): 신령(神靈).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