池魚之殃.
지어지앙.
연(蓮)못 속 물고기의 재앙(災殃).
1) 아무런 상관(相關)이 없는 제삼자(第三者)가 억울(抑鬱)하게 재앙(災殃)을 당(當)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여씨춘추(呂氏春秋) 중에서……)
송(宋)나라의 사마(司馬)였던 환(桓)은 진귀한 구슬을 가지고 있었다.
죄를 지어 처벌을 받게 되자 구슬을 들고 도망하였다.
구슬이 탐난 왕은 사람을 시켜 환을 찾은 뒤 구슬이 있는 곳을 묻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도망칠 때 궁궐 안에 있는 연못 속에 던졌소.”
이에 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고 샅샅이 뒤졌으나, 구슬은 찾지 못하고 애꿎은 물고기만 죽었다.
중국(中國) 송(宋)나라에 사마(司馬)의 지위(地位)에 있던 환(桓)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진귀(珍貴)한 구슬이 하나 있었는데, 어느 날 죄(罪)를 지어 중벌(重罰)을 받게 되자 구슬을 들고 도망(逃亡)쳤습니다.
그러자 평소(平素)에 구슬을 탐(貪)내던 왕(王)이 사람을 시켜 환에게 구슬의 위치(位置)를 물었고, 그는 구슬을 궁궐(宮闕) 안에 있는 연(蓮)못에 버렸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이 말에 속은 왕은 구슬을 찾기 위하여 연못의 물을 모두 퍼냈으나, 구슬은 찾지 못하고 아무런 죄가 없는 물고기들만 죽었습니다.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災殃)’이라는 뜻의 지어지앙(池魚之殃)은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로, 아무런 상관(相關)이 없는 제삼자(第三者)가 억울(抑鬱)하게 재앙(災殃)을 당(當)하는 것을 비유(比喩)하여 사용(使用)되고 있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여씨춘추(呂氏春秋) 효행람(孝行覽) 필기편(必己篇)
*회남자(淮南子) 설산훈편(說山訓篇)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원문(原文):
牛缺居上地大儒也,下之邯鄲,遇盜於耦沙之中。盜求其橐中之載則與之,求其車馬則與之,求其衣被則與之。牛缺出而去。盜相謂曰:「此天下之顯人也,今辱之如此,此必愬我於萬乘之主,萬乘之主必以國誅我,我必不生,不若相與追而殺之,以滅其跡。」於是相與趨之,行三十里,及而殺之。此以知故也。孟賁過於河,先其五,船人怒,而以楫虓其頭,顧不知其孟賁也。中河,孟賁瞋目而視船人,髮植,目裂,鬢指,舟中之人盡揚播入於河。使船人知其孟賁,弗敢直視,涉無先者,又況於辱之乎?此以不知故也。知與不知,皆不足恃,其惟和調近之。猶未可必,蓋有不辨和調者,則和調有不免也。宋桓司馬有寶珠,抵罪出亡。王使人問珠之所在,曰「投之池中」,於是竭池而求之,無得,魚死焉。此言禍福之相及也。紂為不善於商,而禍充天地,和調何益?
※원문(原文) / 해석(解釋):
宋桓司馬有寶珠 抵罪出亡.
송환사마유보주 저죄출망.
송(宋)나라의 사마(司馬)는 진귀(珍貴)한 구슬이 있었는데, 죄(罪)를 지어 처벌(處罰)을 받으니 도망(逃亡)하였다.
(송(宋)나라의 사마(司馬)였던 환(桓)은 진귀(珍貴)한 구슬을 가지고 있었다. 죄(罪)를 지어 처벌(處罰)을 받게 되자, 구슬을 들고 도망(逃亡)하였다.)
王使人問珠之所在 曰,
왕사인문주지소재 왈,
왕(王)이 사람을 시켜 구슬이 있는 곳을 묻자, 말하기를,
(구슬이 탐(貪)난 왕(王)은 사람을 시켜 환을 찾은 뒤 구슬이 있는 곳을 묻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投之池中.
투지지중.
‘못 가운데에 던졌다’라고 하였다.
(도망칠 때 궁궐(宮闕) 안에 있는 연(蓮)못 속에 던졌소.)
於是竭池而求之 無得 魚死焉.
어시갈지이구지 무득 어사언.
이에 못을 없애고 그것을 찾았으나, 얻은 것은 없고, 물고기가 죽었다.
(이에 연못의 물을 모두 퍼내고 샅샅이 뒤졌으나, 구슬은 찾지 못하고, 애꿎은 물고기만 죽었다.)
※유의어(類義語):
- 앙급지어(殃及池魚)
- 횡래지액(橫來之厄)
- 횡액(橫厄)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土積成山(토적성산) – 작은 것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된다는 뜻. 작은 것이 쌓여 큰 것이 됨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26 |
---|---|
春蚓秋蛇(춘인추사) – 글줄은 비뚤어지고 글씨는 졸렬함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25 |
楊布之狗(양포지구) – 겉모습이 바뀐 것을 보고 속까지 바뀐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23 |
喪家之狗(상가지구) – 지칠 대로 지쳐 몸이 여위고 수척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0) | 2019.04.22 |
伯兪泣杖(백유읍장) – 늙고 쇠약해지신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슬퍼한다는 뜻.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