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7) 人常咬得菜根(인상교득채근) 則百事可爲(즉백사가위): 마음이 올바르고 욕심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은 두려울 것이 없어 어떠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7)

 

 

汪信民常言:「人常咬得菜根,則百事可。」

 

마음이 올바르고 욕심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은,

 

두려울 것이 없어 어떠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

 

 

 

 

왕신민(汪信民)은 중국 송()나라의 학자인 왕혁(汪革)으로, 신민(信民)은 그의 자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7)

 

汪信民常言.

왕신민상언.

왕신민(汪信民)이 늘 말하였다.

왕신민(汪信民)은 늘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人常咬得菜根 則百事可爲.

인상교득채근 즉백사가위.

사람이 늘 채소(菜蔬)의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많은 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이 늘 청빈(淸貧)한 생활(生活)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

(사람이 늘 성품(性品)이 깨끗하고 재물(財物)에 대()한 욕심(欲心)이 없을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

(마음이 올바르고 욕심(欲心)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은, 두려울 것이 없어 어떠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

 

 

※出典(출전):

-

 

※原文(원문):

-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