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8)
《中庸》云:「素富貴,行乎富貴;素貧賤,行乎貧賤;素夷狄,行乎夷狄;素患難,行乎患難。」
중용(中庸)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부귀해지면 부귀한 상황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빈천해지면 빈천한 상황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오랑캐의 나라에 가게 되면 그 나라의 풍속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그 상황에 합당한 행동을 하라.”
중용(中庸)은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오경의 하나입니다.
明心寶鑑(명심보감) 安分篇(안분편) (18)
中庸云.
중용운.
중용(中庸)에 다음과 같이 기록(記錄)되어 있다.
素富貴 行乎富貴,
소부귀 행호부귀,
“부귀(富貴)에 처(處)하면, 부귀를 행(行)하고,
(부귀(富貴)해지면 부귀한 상황(狀況)에 합당(合當)한 행동(行動)을 하고,)
(재산(財産)이 많고 지위(地位)가 높아지면 그에 합당(合當)한 행동(行動)을 하고,)
素貧賤 行乎貧賤,
소빈천 행호빈천,
빈천(貧賤)에 처하면, 빈천을 행하고,
(빈천(貧賤)해지면 빈천한 상황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가난하고 천(賤)해지면 그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素夷狄 行乎夷狄,
소이적 행호이적,
이적(夷狄)에 처하면 이적을 행하고,
(오랑캐의 나라에 가게 되면 그 나라의 풍속(風俗)에 합당한 행동을 하고,)
素患難 行乎患難.
소환난 행호환난.
환난(患難)에 처하면 환난을 행하라.”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그 상황에 합당한 행동을 하라.)
※出典(출전):
- 예기(禮記) 중용(中庸)
※原文(원문):
君子素其位而行,不愿乎其外。素富貴,行乎富貴;素貧賤,行乎貧賤;素夷狄,行乎夷狄;素患難,行乎患難:君子無入而不自得焉。在上位不陵下,在下位不援上,正己而不求於人,則無怨。上不怨天,下不尤人。故君子居易以俟命,小人行險以徼幸。」
※原文(원문) / 解釋(해석):
-
※參考(참고):
-
위의 글은 네이버 국어(國語)/한자(漢字)/중국어(中國語) 사전(辭典)을 참고(參考)하여 해석(解釋)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誤打)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