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轍鮒之急(철부지급) – 매우 위급하거나 곤궁한 상황을 비유하는 말.


之急.

지급.

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 붕어의 위급(危急).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 붕어의 위급(危急).

1) 매우 위급(危急)하거나 곤궁(困窮)한 상황(狀況)을 비유(比喩)하는 말.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 중에서……)

 

장자(莊子)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는데, 어느 날 양식이 떨어져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감하후가 말하였다.

 

“좋다. 내가 조만간 영지에서 금을 거둔다네. 그러면 그대에게 삼백금 정도는 빌려줄 수 있을 것이네. 어떻겠는가?”

 

장자는 갑자기 화를 내더니 얼굴을 붉히며 말하였다.

 

제가 어제 이곳으로 오는 도중에 누군가가 저를 불렀습니다.

 

고개를 돌려 보니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속에 붕어 한 마리가 있었습니다.

 

제가 붕어에게 물었습니다.

 

붕어가 불렀군. 너는 그 바퀴 자국 속에서 무엇을 하고 있느냐?’

 

붕어가 대답하였습니다.

 

저는 본디 동쪽 바다에서 파도를 관리하던 동해 용왕의 신하입니다.

 

당신이 저에게 약간의 물만 가져다 주신다면 저는 살 수 있습니다.

 

도와주시지 않겠습니까?’

 

제가 말하였습니다.

 

‘좋다. 내가 조만간 남쪽으로 가서 오()나라와 월()나라의 왕을 만나려 하는데, 서강(西江) 근처를 지나갈 때 물길을 터서 네가 있는 쪽으로 물을 흘려보내겠다. 어떻겠느냐?’

 

붕어가 갑자기 화를 내더니 얼굴을 붉히며 말하였습니다.

 

나는 물이 없으면 살 수가 없다.

 

지금 나는 목숨을 구할 약간의 물만 있으면 되는데, 네가 뜻밖에 이렇게 말을 하다니!

 

그때쯤에는 이곳이 아니라 건어물 가게에서 나를 찾는 게 빠를 것이다.’”

 


 

 

 

 

장자(莊子)는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도가(道家) 사상가(思想家), 본명(本名)은 장주(莊周)라고 합니다.

 

어느 날 장자가 먹을 양식(糧食)이 떨어져 감하후(監河侯)에게 빌리러 간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감하후는 장자의 처지(處地)가 어렵고 급()한 것을 알지 못하고, 며칠 뒤에 세금(稅金)을 거두어 들인 뒤 삼백금(三百金)을 빌려주겠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장자는 며칠 뒤의 삼백금보다는 당장(當場) 끼니를 이을 약간(若干)의 곡식이 필요(必要)했습니다.

 

이에 장자는 자신(自身)의 처지를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 속의 붕어에 비유(比喩)하여 어렵고 급함을 감하후에게 이야기하였습니다.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속 물고기의 위급(危急)’이라는 뜻의 철부지급(之急)은 이 이야기에서 유래(由來)된 고사성어(故事成語)입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전(出典):

- 장자(莊子) 잡편(雜篇) 외물편(外物篇)

 

※원문(原文):

莊周家貧,故往貸粟於監河侯。監河侯曰:「諾。我將得邑金,將貸子三百金,可乎?」莊周忿然作色曰:「周昨來,有中道而呼者。周顧視車轍中,有魚焉。周問之曰:『魚來!子何者邪?』對曰:『我,東海之波臣也。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周曰:『諾。我且南遊吳、越之王,激西江之水而迎子,可乎?』魚忿然作色曰:『吾失我常與,我無所處。吾得斗升之水然活耳,君乃言此,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

 

※원문(原文) / 해석(解釋):

 

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장주가빈 고왕대속어감하후.

장주(莊周)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고, 그래서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穀食)을 빌리러 갔다.

(장자(莊子)는 살림이 넉넉하지 못하였는데, 어느 날 양식(糧食)이 떨어져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穀食)을 빌리러 갔다.)

 

監河侯曰.

감하후왈.

감하후가 말하였다.

 

.

.

좋다.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아장득읍금 장대자삼백금,

내가 곧 고을의 금()을 거두려 하니, 장차 그대에게 삼백금(三百金)을 빌려주려 하는데,

(내가 조만간(早晩間) 영지(領地)에서 금()을 거둔다네. 그러면 그대에게 삼백금(三百金) 정도(程度)는 빌려줄 수 있을 것이네.)

 

可乎.

가호.

괜찮겠는가?”

(어떻겠는가?)

 

莊周忿然作色曰.

장주분연작색왈.

장주는 갑자기 화()를 내더니 낯빛을 바꾸고 말하였다.

(장자는 갑자기 화()를 내더니 얼굴을 붉히며 말하였다.)

 

周昨來 有中道而呼者.

주작래 유중도이호자.

제가 어제 오는데, 중도(中道)에 부르는 것이 있었습니다.

(제가 어제 이곳으로 오는 도중(途中), 누군가가 저를 불렀습니다.)

 

周顧視車轍中 有魚焉.

주고시거철중 유부어언.

제가 돌아다보니 수레의 바퀴 자국의 가운데였고, 붕어가 있었습니다.”

(고개를 돌려 보니,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속에 붕어 한 마리가 있었습니다.)

 

周問之曰.

주문지왈.

제가 그것에게 물었습니다.

(제가 붕어에게 물었습니다.)

 

魚來. 子何者邪.

부어래. 자하위자야.

‘붕어가 했군. 너는 무엇을 하는 놈이냐?’

(붕어가 불렀군. 너는 그 바퀴 자국 속에서 무엇을 하고 있느냐?)

 

對曰.

대왈.

대답(對答)하여 말하였습니다.

(붕어가 대답(對答)하였습니다.)

 

我 東海之波臣也.

아 동해지파신야.

저는, 동해(東海)의 파신(波臣)입니다.

(저는, ()디 동()쪽 바다에서 파도(波濤)를 관리(管理)하던 동해(東海) 용왕(龍王)의 신하(臣下)입니다.)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

군기유두승지수이활아재.

당신(當身)이 어찌 두승(斗升)의 물이 있어 나를 살릴 수 있겠습니까?’

(당신(當身)이 소량(少量)의 물이 있다면 나를 살릴 수 있지 않겠습니까?)

(당신(當身)이 저에게 약간(若干)의 물만 가져다 주신다면 저는 살 수 있습니다. 도와주시지 않겠습니까?)

 

周曰.

주왈.

제가 말하였습니다.

 

.

.

‘좋다.

 

我且南遊吳越之王 激西江之水而迎子.

아차남유오월지왕 격서강지수이영자.

내가 장차 남()쪽으로 가서 오()나라와 월()나라의 왕()과 사귀려 하는데, 서강(西江)의 물을 튀겨서 너를 영접(迎接)하겠다.

(내가 조만간 남()쪽으로 가서 오()나라와 월()나라의 왕()을 만나려 하는데, 서강(西江) 근처(近處)를 지나갈 때 물길을 터서 네가 있는 쪽으로 물을 흘려보내겠다.)

 

可乎.

가호.

괜찮겠느냐?’

(어떻겠느냐?)

 

魚忿然作色曰.

부어분연작색왈.

붕어가 갑자기 화를 내더니 낯빛을 바꾸고 말하였습니다.

(붕어가 갑자기 화를 내더니 얼굴을 붉히며 말하였습니다.)

 

吾失我常與 我無所處.

오실아상여 아무소처.

나는 내가 늘 함께 하던 것을 찾지 못하면, 나는 거주(居住)할 곳이 없다.

(나는 물이 없으면 살 수가 없다.)

 

吾得斗升之水然活耳,

오득두승지수연활이,

나는 두승의 물을 얻으면 분명(分明)하게 살 뿐인데,

(지금(只今) 나는 목숨을 구()할 약간의 물만 있으면 되는데,)

 

君乃言此 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

군내언차 증불여조색아어고어지사.

네가 뜻밖에 이렇게 말을 하니, 이미 말린 물고기의 가게에서 빠르게 나를 찾는 편이 낫다.’”

(네가 뜻밖에 이렇게 말을 하다니, 그때쯤에는 이곳이 아니라 건어물(乾魚物) 가게에서 나를 찾는 게 빠를 것이다.)

 

※유의어(類義語):

- 고어지사(枯魚之肆)

- 학철부어()

- 학철지부(轍之)

 

※반의어(反義語):

-

 

 

 

 

*고사성어(故事成語)의 의미(意味)와 유래(由來).

*원문(原文) / 해석(解釋) / 유의어(類義語) / 반의어(反義語).

*네이버 한자/중국어/국어 사전을 참고하여 풀이하였으며, 잘못된 해석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